[부산경제신문/이상철 기자]
부산시는 9일,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에서 ‘낙동강 하구 기수생태계 복원방안’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입장이 다른 지역 내 이해관계자들 간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민관협의체를 구성·운영하여 의견을 수렴하고, 시범개방 결과를 공유해 염분 피해 발생에 대한 우려도 완화하는 등 긴 과정을 거쳐 ‘낙동강 하구 기수생태계 복원방안’이 마련되었다.
먼저, 하굿둑 상류 기수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해 안정적으로 기수역을 조성하고, 체계적인 생태복원 사업을 추진하며 이로 인한 변화 관측을 강화한다.
바닷물 유입기간은 4개월에서 매월 대조기(大潮期)로 확대하되, 낙동강 하류지역 농·공·생활용수 공급에 문제가 없도록 하굿둑 상류 15㎞ 이내로 기수역을 조성하며 수질과 생태 변화를 관찰한다.
특히 염분이 하굿둑 상류 10~12㎞에 도달하면 바닷물 유입을 중단하여, 농업용수로 활용되는 서낙동강 유역에 염분 피해를 방지할 계획이다.
아울러, 낙동강 하구 기수생태계의 자연성 회복을 위해 하굿둑 건설 이전의 생태계와 기후·여건변화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생태복원을 추진하고, 기수역 장기조성 영향과 생태복원 성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중장기 관측계획도 수립하여 이행할 계획이다.
이어 바닷물 유입으로 인한 염분 피해를 방지하고, 서낙동강 유역의 환경 개선도 추진한다.
예방대책에도 불구하고, 염분 피해가 발생할 경우에는 관계기관 지원 하에 양수기·급수차 등을 활용한 농업용수가 비상공급되며, 환경분쟁조정제도 등을 통한 피해구제도 검토될 예정이다.
서낙동강 유역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관계기관 및 지역사회와 협의하여 중장기 도시계획, 서낙동강 수계 하천정비사업 등을 종합 고려한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낙동강 하구 기수생태계 복원성과를 활용·확산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지역사회의 관심과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지역사회 중심의 ‘낙동강 하구포럼(가칭)’을 구성·운영하고, 복원 노력이 국내외로 확산할 수 있도록 낙동강 하구 복원과정에 대한 홍보도 강화한다.
마지막으로, 하천·하구·연안 간 통합관리 강화를 위해 관계기관 간 협력을 강화하고 법·제도적 기반을 정비한다.
시는 환경부·해수부·수자원공사·농어촌공사 등과 협력을 강화하여 기수생태계 복원사업이 더욱 효율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