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
바다를 경제 공간으로 활용하자. 「해류」는 바다의 강물 「해류」는 바다에 강물처럼 흐른다‘강물’은 흘러가는 방향이 일방적(一方的)이다. 갑자기 어느 날 거꾸로 흐르는 법이 없다. 한강이나 영산강이나 낙동강이 다 그렇다. 재미있는 건, 바다에도 ‘강물’ 같은 흐름이 있다는 것이다. 강물같은 흐름 생명 바로 '해류'(海流, ocean current)이다. 예를 들어 동해에 가보면, 늘 ... 2025-04-01 홍철훈 교수
-
학교안전인성교육으로 국민안전문화 콜라보운동 전개를 우리나라 구한말 1895년 고종은 2차 갑오개혁때 교육입국 조서를 발표하면서“국가의 부강은 지식의 계명(啓明)에 달려 있으니, 교육은 실로 국가를 보존하는 큰 근본이 된다.”라고 강조하였다. 그만큼 교육은 국가의 미래를 준비하는 백년대계(百年大計)라고 인식되고 있다. 그리고『국민안전교육 진흥기본법』에서“안전교육&rdq... 2025-03-24 오다겸
-
바다를 경제 공간으로 활용하자. (홍철훈 교수/칼럼리니스트)‘야누스(Janus)’는 ‘2개의 얼굴을 가진 천국을 지키는 문지기’로 알려져 있다. 로마 신화에 나온다. 인간이 죽어 천국 문턱에 가면 이생에서의 행실에 따라 그가 천국과 지옥을 가름한다는 것이다. 이를테면 선과 악의 두 얼굴을 한 몸에 지닌 이심동체(二心同體)인 셈이다. 사실, 태풍도 그런 양면(... 2025-03-17 홍철훈 교수
-
국제 금값인상과 석유가 하락 (본지 발행인 오다겸 )국제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국제 원자재 시장에서 금 현물 가격이 지난해 10월에 기록한 최고가를 경신한 것이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책 불확실성이 관세 인상 등 무역 정책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져 안전자산 수요를 부추긴 결과이다. 올해 들어서만 8%가량 띄웠다. 대... 2025-03-14 오다겸
-
돈과 거짓말, 그리고 자식농사 (김병연 / 시인.수필가)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은 생존을 위한 필요조건이다. 그러나 사람마다 돈을 인식하는 가치가 다르고 살아온 생활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생존을 위해 필요 기준을 정하기는 곤란하다. 그래서 돈을 얼마만큼 벌어야 하고 얼마만큼의 돈을 갖고 있어야 위협으로부터 안전한지에 대한 기준도 없다. 그러나 다다익선(多多益... 2025-03-13 오다겸
-
-1부- 바다를 경제 공간으로 활용하자. 「엘니뇨」는 세계 경제의 먹구름 (홍철훈/부경대학교 명예교수)오늘날 바다는 경제현장의 한 축을 이루고 있다. 오죽하면「블루오션(Blue Ocean)」이란 말이 나왔을까. 그야말로, 바다(해양)를 ‘경쟁이 없는 새로운 시장’, 모험과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창출할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의 공간으로 보면서 산업 활동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한다. 특히 삼면(三面)이 바다... 2025-03-05 홍철훈
-
까치밥을 달고 선 감나무처럼 까치밥을 달고 선 감나무처럼어린 시절 외가에 가면 감나무가 많았다. 그래서인지 난 유독 감을 좋아한다. 감이라면 어떤 것이든 좋다. 가을이 되면 제일 먼저 선을 뵈는 단감, 말랑말랑 단맛이 혀끝을 감미롭게 하던 홍시.첫사랑처럼, 달기도 하지만 때론 덜익은 것을 성급히 먹게 되면 떫은 맛이 오래 입 안을 가득 매워 온 가슴 속까지 답... 2024-12-16 박문숙
-
한국언론 뉴스유통 시장과 포털 CP사의 횡포: 공정성을 위한 대안은 무엇인가? (오다겸/편집인)한국의 디지털 생태계에서 언론 뉴스 유통은 주요 포털 사이트인 네이버, 다음(카카오)과 같은 콘텐츠 제공자(CP, Content Provider)에 의해 독점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소비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했지만, 언론사와의 관계에서는 여러 문제를 낳고 있으며 특히 포털 CP의 지배적인 위치를 이용한 불공정 행위와 수익 ... 2024-11-25 오다겸
-
'포노사피엔스' 시대를 뛰어 넘는 지도자가 아쉽다 포노사피엔스의 저자 최재붕 교수는 우리나라의 경제 현실을 아래와 같이 진단하고 있다.우리의 문명 시계는 1980년대에 멈춰 선듯하다. 기존 시장의 절대 강자인 대기업들과 근로자, 약소기업 간의 불평등 관계의 빌미로 정치권의 패권 다툼이 극에 달해 있다. 좌파든, 우파든 정치인들은 이 땅에서 장... 2024-07-15 부산경제신문
-
개자제분은 싫고 개부친은 좋다 개자제분은 싫고 개부친은 좋다 글 / 이창상 (전)고려대교수이 글은 이창상 교수의 [개자제분은 싫고 개부친은 좋다]를 1~3부로 편집한 글이다.-1부-필자가 법과대학 등의 교수로 있으면서 법을 연구하고 교수 한 수십 년의 세월이 흘렀고, 검찰 또는 경찰에서 형사 사건 조정이... 2024-06-11 최치훈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