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이즈음 아무리 선거가 코앞에 다가왔다 해도 선거 얘기보다 먼저 지방자치단체들의 최대 화두는 일자리 창출이다.

사회에 첫 진출하는 청년들의 희망과 꿈을 꺾는 청년실업문제는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절박함 때문이다. 아무리 ‘고용 없는 성장시대’라고는 하지만 방법을 찾으면 반드시 길은 열려 있다.

부산시가 이 같이 일자리 창출에 팔을 걷어 부친지도 벌써 몇 년이 지났다. 특히 올해의 경우 부산시 시정 최우선 목표가 일자리 창출이다.

실제 부산시는 올해를 ‘새로운 일자리 창출의 해’로 선포하고 12만6천개의 일자리 만들기에 나섰다. 이를 위해 ‘부산시 일자리 창출본부’와 ‘새일자리기획단’을 신설하고 33개 시책을 추진하고 있다.

노·사·민·정의 범시민 프로젝트인 ‘새로운 일자리 2% 더 늘리기’ 운동도 벌여 각계각층의 참여를 넓혀가고 있다. 사실 부산은 1970∼80년대 경공업에서 중화학공업으로의 구조조정에 실패하고 대기업이 별로 없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다른 도시에 비해 일자리 창출이라는 게 쉽지 않다.

그러나 손만 놓고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적절한 아이디어와 전방위적으로 노력을 한다면 상당한 성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 소속 전체 공무원들의 월급을 1% 이내 범위에서 모아 고용창출을 지원하는 ‘일자리 나누기 운동’까지 전개하면서, 이렇게 마련한 모금액은 청년인턴 등을 채용하는 경비로 활용한다.

시 공무원들이 고통을 분담하고 솔선수범 한다는 차원에서 보면 꽤나 희망적이다. 부산시의 각종 노력은 특화된 일자리 창출사업에서도 뚜렷이 확인할 수 있다. 부산시는 지난달 27일 한국여성경제인협회부산지회와 ‘여성기업 1사 1명 여성일자리 창출사업’ 협약을 체결했다.

다음달 7일에는 주한 유럽연합상공회의소와 공동주최로 첫 외국계 회사 채용박람회도 연다. 기업을 직접 방문해 상담을 통해 일자리를 발굴하고 구직자와 기업을 연결해 주는 ‘찾아가는 일자리발굴단’ 사업은 지난해 571명을 취업시키는 성과를 올렸다.

뿐만 아니라 지역 청년과 기업의 구직·구인난을 한꺼번에 덜어주기 위해 지난 11월 개소된 부산청년일자리센터(부산Yes센터)도 지역 청년들의 희망으로 떠오르고 있다.

찾아가는 기업현장투어, 구인·구직자간 1:1 맞춤 취업상담으로 청년 취업 창구로 각광받고 있는 것이다. 실로 문을 연 지 4개월 만에 청년 구직자 114명을 취업시키기도 했다.

부산시의 이 같은 다각적이고 줄기찬 노력들이 많은 구직자들에게 희망과 더불어 취업의 성과가 맺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2-03-15 00:00:00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오늘의 주요뉴스더보기
부산은행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동양야금공업
원음방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