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와 고령화사회 진입으로 매달 일정금액이 지급되는 월지급채권형펀드의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런데 우선 용어가 너무 생소하거나 어렵다.

월지급채권형펀드? 그러기에 채권형펀드에 투자하기에 앞서 편입대상인 채권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자. 채권은 대부분 만기와 이자가 확정돼 발행된다.

채권발행자는 확정된 이자와 만기에 원금상환 의무를 부담한다. 그러므로 채권 보유자는 만기까지 보유하면 확정된 이자와 원금을 지급받게 된다.

그러나 채권 투자에도 위험은 있다. 기업이나 국가부도 등에 따른 채무불이행위험과 채권가격이 떨어지는 이자율위험, 제값으로 안 팔리는 시장위험, 콜옵션 부여된 중도상환위험, 인플레이션위험, 환율위험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채무불이행위험은 채권발행자의 부도로 발생하는 지급불능 위험을 말한다. 투자자들이 채무불이행 위험을 피하기 위해 피치나 무디스 등 전세계에 다양한 신용평가사들이 국가나 기업들의 신용등급을 지정하는 것이다. 둘째로는 이자율 위험이다.

채권가격은 채권 수익률에 반비례한다. 예를 들어 정기예금과 비교해 보면 1년제 정기예금이 원금 1,000만원, 연4% 이율이라면 1년 뒤 40만원의 이자를 합쳐 1,040만원이므로 현재가치는 1,040만원을 4% 할인하면 1,000만원이 된다.

채권시장에서는 할인율을 사용하는데 동일금액 1,040만원을 5%로 할인하면 현재가치는 1,000만원보다 작아지게 된다.

할인율이 상승하면 채권가격이 하락함을 알 수 있다. 이자율 개념은 현재부터 미래에 관한 것이고, 채권에서 사용하는 할인율은 고정된 미래로부터 현재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이자율위험은 채권을 만기일까지 보유하는 경우 회피할 수 있다.

셋째, 유동성위험은 채권을 중도에 매도 할 때 매수자가 없거나 매수-매도 호가 차이로 제 값으로 팔 수 없는 위험을 말한다.

넷째, 중도상환위험은 채권발행자가 만기 이전에 조기 상환할 수 있는 콜옵션을 행사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되어 발행된 채권으로부터 발생한다. 채권발행자는 시중금리 하락으로 채권 표면금리가 시중금리보다 높으면 조기에 상환하고, 새로운 채권을 발행하게 되므로 채권 보유자 입장에서 재투자 시 낮은 금리 채권에 투자하게 되는 위험이다.

채권가격도 이런 위험으로 매일 가격이 변동되며 채권형펀드 역시 수익률이 변동하게 된다. 월지급형 채권형펀드는 이러한 채권형펀드에 투자자에게 월이자를 지급하게 되는 상품이므로 좀더 구조가 복잡하지만 이 또한 채권형펀드이므로 기본 채권형펀드와 원리는 일치한다.

즉 수익률이 변동 할 수 있고 상품에 따라서는 높은 수익률을 추구하는 대신에 원금손실도 감수해야하는 것도 있다. 투자 시에도 상기 위험을 인식하고 신중하게 투자하기를 권장한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1-10-31 00:00:00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최신뉴스더보기
15분도시 부산
한국도로공사_졸음쉼터
BNK경남은행 배너_리뉴얼
부산시설공단
대마도 여행 NINA호
2024_12_30_쿠쿠
기술보증기금
은산해운항공 배너
한국수소산업협회
부산은행
동양야금공업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