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김문준 전무OECD 회원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월 2%에서 같은 해 5월 0.6%까지 낮아진 뒤 다시 1%대로 올라섰으나 작년 4분기에는 3개월 연속 1.5%에 머물렀다.식료품과 에너지. 모두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도 2020년 12월 1.8%에서 2021 1월 2%로 높아졌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LDE19) 백신 보급따라 경제 회복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최근 금융시장에서는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를 보고 있다.미국 바이든의 새 정부 재정정책은 경기회복·친환경·인프라 확충에 집중할 것으로 분석된다. 대규모 인프라 투자를 통해 팬데믹(대유행)으로 사라진 일자리를 복원하고 친환경 에너지 경제를 구축하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이로 인한 재정건전성과 대규모 국채발행으로 인한 채권시장 수급불균형 문제 및 인플레이션 기대 심리가 급속히 확산으로 우려가 되고 있다.국제유가는 코로나19 확산이 본격화한 지난해 4월 말 급락한 뒤 두 달도 채 되지 않아 낙폭의 절반가량을 회복했다. 올해 들어 국제유가가 치솟고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모두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돌아갔고, 서로 동조화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올해도 국고채 10년물 금리가 기준 2.0%를 깨고 오르는 등 약세 압력은 여전하다고 분석된다. 국제유가와 국고채 10년물 금리의 상관관계가 상당히 높으며 인플레이션에 제일 영향을 많이 주는 것이 원자재 중에서도 유가이다.경기 회복 기대에 따른 유가 상승은 물가 상승의 원인이면서 채권 약세 요인이 인플레이션 우려를 키우고 있다.


코로나19로 실물경제 위축이 여전한데 미국발 인플레이션 위험이 가시화한다면 한국 경제에는 큰 부담이다.한국 경제의 인플레이션은 1980년 이전 고도 성장기에 연평균 15%대의 높은 인플레이션을 경험하다가 외환위기 이후 한국은행이 물가안정목표제를 도입하면서 글로벌 금융위기 전까지 연평균 2.9% 수준을 유지했다. 


최근 3년간(2017~2019년) 인플레이션은 연평균 1.27%로 과거보다 더 낮았다.인플레이션이 낮게 유지된 배경에는 인구 고령화 및 저출산에 따른 경제 역동성 저하, 노후 대비를 위한 저축 증가 및 민간 소비 하락, 성장 동력 상실에 따른 투자 하락 등으로 경제성장률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면서 총수요가 감소한 데 기인한다.또한 화폐 유통 속도 하락 등 돈이 돌지 않는 ‘돈맥경화’ 현상도 작용했다. 거기에다가 지난해 코로나19 사태로 민간 소비가 더 위축돼 인플레이션은 0.5%로 떨어졌으며, 한은은 2021년 1.3%, 오는 2022년 1.4%로 점진적 물가 상승을 전망하고 있다. 


돈을 풀어도 인플레이션이 없다는 인플레이션 이론의 위기까지 나올 상황이다.하지만 미국발 인플레이션 위험은 한국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현실화할 가능성이 있어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


코로나19 충격은 경제의 구조적 결함이 아닌 자연 재난이기 때문에 백신 효과가 가시화하기 시작하면 경제 활동은 빠르게 재개될 가능성이 있다. 그동안 억눌려 있던 대면 소비 활동이 ‘보복 소비 심리’와 함께 되살아나고 이러한 수요 급증에 대응해 공급자들이 그동안의 매출액 감소 등에 대한 보전으로 가격을 인상하면 인플레이션은 급속히 진행될 수 있다.


정책 당국자는 경제 주체 모두 풍부한 유동성 건너편에 물가 상승과 자산 시장의 전환기적 변곡점이 기다리고 있음을 상기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1-03-11 09:54:46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오늘의 주요뉴스더보기
부산은행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동양야금공업
원음방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