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신간] 욕심이 차오를 때, 노자를 만나다 - 물질 만능의 시대에 비움의 가치가 각광받는 역설
  • 기사등록 2017-11-01 10:58:36
기사수정
책 표지 이미지.

현대인의 삶은 소유의 경쟁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성공의 척도는 가진 것의 양이고, 가지지 못한 자는 패배자가 되어 가난을 벗 삼는 것이 자본주의의 생리다. 하지만 이미 많은 것을 가진 현대인에게서 승자의 행복감을 찾기는 쉽지 않다. 오히려 현대인이 동경하는 삶의 방식은 ‘비움’이다. 세계적인 의류 기업이 된 유니클로나 생활 전반에 걸친 다양한 물건을 파는 무인양품은 물건 본연의 모습, 즉 ‘비움’을 부각시켜 큰 성공을 거뒀다. 우리는 왜 이처럼 비움을 갈구하는 것일까?

노자는 소유하지 않는 데서 만물을 소유하는 힘이 나온다고 말했다. 무위의 세계에 머무는 사람만이 인위적인 행동이나 소유의 욕망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는 뜻이다. 욕심을 버리면 불필요한 물건이나 넘치는 지식 대신 순수한 자신과 대면할 수 있다. 욕심을 버렸을 뿐인데 참된 자아를 향한 순례가 시작되는 셈이다.

미니멀리즘이 말하는 삶의 방식은 노자의 무위와 다르지 않다. 돈이나 물건을 구하는 데는 반드시 욕심과 번뇌가 따른다. 경제학에서 말하는 기회비용이다. 하지만 삶의 방향을 비움에 맞추면 자신이 좋아하는 일에 더 집중할 수 있다. 삶의 방식이 소유 중심에서 존재 중심으로 바뀌기 때문이다.

무엇이든 가득 찬 상태에서는 마음껏 움직일 수 없다. 돈도, 물건도, 사람의 마음도 마찬가지다. 다비드상을 만든 미켈란젤로는 단지 필요 없는 부분을 걷어냈을 뿐이라고 말했다. 그는 다비드상을 욕망하지 않음으로써 다비드상을 얻었다.

고전이 사라지지 않는 이유는 시대가 바뀌어도 여전히 통용되는 철학을 품고 있기 때문이다. 그중에서도 《도덕경》은 동양 철학의 근간을 이루는 도가 사상의 효시인 동시에 현대에 와서 더욱 새롭게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역주행’ 스테디셀러라 할 만하다.

때로는 무언가를 필사적으로 붙잡기보다 흘러가는 대로 몸을 맡기는 것이 난관을 헤쳐 나가는 방법이 된다. 버린다고 없어지는 것이 아니다.

저자는 《도덕경》의 지혜를 빌려 버려지는 것은 낡은 나이고, 얻는 것은 새로운 나임을 우리에게 일깨운다. 변화는 먹는 것, 입는 것, 신는 것, 사는 곳처럼 사소한 일상에서 시작된다. 스스로의 욕심이 무겁게 느껴진다면, 고전의 지혜에서 답을 구해보는 것은 어떨까. <출판사 서평 >

■지은이 소개 - 박영규

대학총장 재직시절 학생들을 위한 특강을 준비하면서 고전의 매력에 푹 빠져 본격적인 인문학자의 길로 나섰다.

서울대 사회교육학과와 동 대학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중앙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공공기관 임원을 거쳐 한국승강기대학교 총장, 한서대학교 국제관계학과 대우교수를 역임했다. 중부대학교와 건양대학교에서 정치학과 인문학을 가르쳤다. 간결한 삶을 꿈꾸며, 애묘 ‘야옹이’와 보내는 시간을 가장 좋아한다.

정의의 관점에서 논어를 재해석한 《다시, 논어》를 비롯해 《그리스, 인문학의 옴파로스》 《인문학을 부탁해》 《인문학의 눈으로 본 행복한 국가와 정치》 등을 썼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7-11-01 10:58:36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오늘의 주요뉴스더보기
부산은행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동양야금공업
원음방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