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부산항만공사(BPA)는 17일부터 3일간 중국 상하이의 코스코(COSCO)와 차이나쉬핑(China Shipping) 등 중국의 주요선사와 일본의 3대 선사인 NYK와 MOL, K-LINE를 대상으로 타깃 마케팅에 나선다.

글로벌경기 침체로 전 세계 화물이 줄어들고 있어 중국 양대 선사를 주요고객으로 하는 대한통운의 CEO가 참여하며, 17일 BPA 노기태 사장과 세계 6대 선사인 코스코의 순쟈캉 총재를 만나 부산항 안정성과 이용에 감사의 뜻을 전했다.

18일에는 세계 5대 선사인 차이나 쉬핑의 리샤오더 총재와 만나 최근 달러 및 위안화 상승 등 부산항 하역비 약 25% 인하효과 설명과 기상악화로 인한 부두 폐쇄가 없는 부산항을 환적거점화 추세가 늘고 있다고 밝히고 오후에는 한진해운과 현대상선 등 상하이에 있는 국적선사 10개사를 초청, 간담회를 마련해 애로사항과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실제로 최근 세계적인 경제 불황으로 선사들은 운영항로를 통폐합하고 비수익항로를 철수하는 등 비용절감 책을 강구하고 있으나 BPA는 이러한 움직임이 북중국항만 직기항을 줄이고 부산항 환적 대체로 이어질 것으로 가시적인 성과를 기대하고 있다.

이밖에도 부산항의 자매항인 상하이항을 관리하고 있는 상하이 항무그룹(SIPG)을 방문, 양항간 협력방안 논의와 오는 25일과 26일 일본의 3대 선사인 NYK와 MOL, K-LINE 등을 상대로 타깃마케팅에 나설 계획이다.

BPA 강부원 마케팅팀장은 “최근의 경제 위기가 오히려 부산항에는 기회가 될 수 있도록 타깃 마케팅을 통해 환적화물 증대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08-11-18 00:00:00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오늘의 주요뉴스더보기
부산은행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동양야금공업
원음방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