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우상/역사소 우후죽순처럼 생겨나는 신문사들을 보면 매우 우려스럽다. 영세한 신문사의 난립은 어느 한 지역의 문제만은 아니다. 최근 한 광역시의 유력한 일간지 M신문사가 보도한 내용을 보면 그 심각성이 여실히 드러난다. “좋은 제품을 개발해 널리 알리고 싶어 유력한 신문사에 광고를 의뢰했는데 그것이 엄청난 화(禍)가 될지 정말 몰랐습니다. 지역의 유력 일간지에 광고를 실었는데 광고가 나가자마자 다른 신문사에서 벌떼처럼 몰려드는 통에 업무가 마비될 지경이었습니다. 심지어 광고를 주지 않으면 회사문을 닫게 하겠다는 협박까지 받을 정도였습니다. 이 일을 겪고 나서는 아예 광고할 생각을 하지 않고 있으며 다른 업체 사장들에게도 '함부로 신문사에 광고할 생각 마라'고 충고했습니다." 지역에서 중소기업을 경영하는 한 대표가 유력한 신문사 기자에게 털어놓은 하소연이다.
"어느 날 신문사 기자라면서 회사를 찾아와 마구잡이로 사진을 찍고는 '안전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않았다. 이를 기사화하겠다'고 협박하길래 울며 겨자 먹기로 50만원을 주고 보냈습니다. 자금부족으로 미처 시설을 갖추지 못했는데 이를 빌미로 돈을 뜯어 가는 행태는 칼만 안 들었지 강도와 뭐가 다를 게 있습니까?" 기자가 부끄러운 실례를 늘어놓는 이유는 우리 지역에 신문사가 너무 난립해 그 피해가 고스란히 시민들에게 전가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한국신문협회 자료에 따르면 2012년까지 등록된 전국에 일간지는 5,096. 주간지는 22,292. 인터넷은 14,317이며 격월간 4,207, 월간 30,832. 계간 8,164로 총 84,908이다. 여기에다 2012년 이후 현재까지 전국 광역자치단체에 등록한 신문사를 합하면 이보다 훨씬 더 많을 것으로 보인다. 가히 언론의 홍수시대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주민의 알권리와 표현의 자유를 확대한다는 측면에서 보면 긍정적으로 볼 수도 있지만, 현실은 전혀 그렇지 않다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상황이 이렇게 된 것은 김대중 정부 때 자율화라는 명분으로 신문사 설립을 허가에서 신고제로 전환하면서 무분별하게 신문사가 생겨났기 때문이다. 이런 자율화는 대학에도 마찬가지로 일부 사립대학은 각종 비리로 사회문제가 된 적이 있었다.
일부 영세한 언론사들은 월급도 지급하지 못하거나 심지어 사기 등 전과기록을 갖고 있는 사람이 기자행세를 하고 돌아다닌다는 말도 들린다. 특히 중소도시로 갈수록 그 폐해가 더 심하다. ‘악화가 양화를 구축한다’는 영국의 경제학자 그레샴의 법칙이 있듯 불건전한 언론도 건전한 언론을 좀먹게 할 수 있다. 언론은 우리 사회의 중요한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언론풍토가 병들어서는 사회가 바로 설 수 없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언론사 설립요건 및 등록 방법을 대폭 강화하여 언론사에 전연 근무해 본 적이 없어도 누구나 컴퓨터 한 두대만 갔다놓고 신문사를 하는 그야말로 웃음이 나오는 일은 없어야 한다. 어느 언론학자가 말했듯 불량한 언론사는 잡초와 같아서 뽑아내도 또다시 자라는 만큼 시작부터 발 디딜 여지를 주지 않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 아닌가 싶다.
최근 y통신사는 일부 인터넷 언론 보도로 인한 기업의 피해상담 사례가 급격히 늘고 있어 인터넷 신문사 설립 요건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하면서 지난 2009년 한해 동안에만 인터넷 언론· 뉴스서비스와 관련해 언론중재위원회에 접수된 피해상담 건수가 전체 3740건 가운데 1007건(26.9%)으로 가장 많았다고 보도했다. 우후죽순처럼 무분별하게 생겨난 영세한 신문사 난립의 폐해는 고스란히 국민의 몫으로 돌아온다. 따라서 정부와 자치단체는 신문사 설립요건을 대폭 강화하는 등 대책마련이 있기를 촉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