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부산지역 청년창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창업지원플랫폼 구축, 지원기관의 네트워크형 협력,청년기업 클러스터 활성화 등이 필요하다는 연구 보고서가 나왔다.

부산발전연구원은 26일 BDI 포커스 ‘고용확대의 돌파구, 청년창업 활성화’라는 보고서를 내고 부산지역 청년창업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보고서는 “부산의 미래를 이끌어 갈 청년들의 가장 큰 관심사는 신명나게 일할 수 있는 일자리를 갖는 것”이라며“청년창업은 청년층 고용률을 높이면서 창조경제에 걸맞은 산업구조를 바꾸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라고 밝혔다.

이 보고서를 작성한 김도관 연구위원은 “부산의 청년창업 기업 수는 전국에서 5.6%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며“업종 내 청년기업의 비중이 높은 분야는 교육서비스업, 출판업 등 창조형 창업이어서 발전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포코팡으로 잘 알려진 ㈜트리노도, 환경부 예비사회적기업인 ㈜바이맘, 캠핑트레일러 제조사인 ㈜스프링시티 등은 부산의 대표적 청년창업 사례로 소개했다.

김 연구위원은 “창업자의 단계를 잠재창업자·예비창업자·초기창업자·성공창업자의 4단계로 구분해 단계별로 유기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창업지원 플랫폼을 개발·적용해야 한다”며“창업지원기관은 각 단계의 어떤 역량에 기여하는지가 구분되어야 하며, 유기적 연결을 위해 서로 조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좋은 아이디어가 있지만 이를 사업화하는 방법을 모르는 청년들을 발굴하기 위해 아이디어의 사업화뿐만 아니라 성공적 창업으로 연결되는 플랫폼 구축이 필요하다”며“ 경진대회에 입상한 청년들이 창업에 성공할 수 있도록 후속 절차를 설명하는 창업플랫폼이 있는 매뉴얼을 제공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앞으로 설립될 가칭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의 핵심기능이 창업허브기능이 될 수 있도록 창업지원 기관과의 협력이 필요하다”며 “먼저 신뢰를 쌓을 수 있도록 실질적 모임이 필요하며 이후 경진대회와 같이 공동 참여할 수 있는 창업지원사업을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 연구위원은 “다양한 청년기업들로 구성된 모임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운영비용과 더불어 컨소시엄사업을 공모해 추진할 필요가 있다”며“청년기업 뿐만 아니라 1인 창조기업과 더불어 중소기업·중견기업과 연계할 수 있도록 사업을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4-05-26 00:00:00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오늘의 주요뉴스더보기
부산은행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동양야금공업
원음방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