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희근 최근 석면 얘기로 부산이 들썩거린다. 1997년대 이후 우리나라에 들어서기 시작한 석면공장은 항구 도시 부산에 특히 많이 세워졌다. 또, 항구도시로 유독 조선소가 많았던 부산의 경우 석면으로 선박의 내부마감을 주로 석면으로 처리했다.
최근에 와서 지역별로 잠복되어 있던 석면폐증이 다시 발병되고 있다. 당시 조선소에서 근무했던 근로자들의 석면에 의한 피해가 다시 나타나고 있어 충격을 주고 있다.
감천에 거주하고 있는 H씨의 경우 지난해부터 알 수 없는 병명으로 병원을 찾아 치료를 하던 중, 현재 폐기흉과 폐경화로 고통에 시달리고 있다. M씨를 담당하고 있는 의사의 석면폐증의 발병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소견에 당시 근무했던 조선소를 방문했으나, 30여년이 지난 지금 당시의 근무확인은 할 수 없다는 회사 측의 답변 뿐 이다.
석면환경보건센터 측의 얘기도 마찬가지다. 해당 조선소에서 석면에 관계되는 작업을 했다는 근거와 검사에 의한 정확한 확인 절차가 우선되어야 한다는 얘기 뿐 이다.
오래전 부산에서는 석면을 취급하는 직장은 다른 일보다 나름대로 돈벌이가 괜찮았다. 어려운 생활 속에서 석면에 대한 공포는 크게 문제시 되지 않았다. 생활고 때문이라도 석면과 관계되는 작업장으로 근로자가 몰릴 수 밖에 없었던 이유다. 하지만 세월이 지나 나름대로 여유가 생긴 지금, 많은 사람들이 석면의 후유증을 고스란히 몸속에 담고 산다.
환경부와 부산시가 건강영향조사를 통한 피해자 발굴에 나서고 있지만, 이런 M씨와 같은 뒤늦게 발병하는 잠재적 피해자들이 얼마나 될지는 모를 일이다. 특히 잠복기간을 예측하기 힘든 석면폐증의 경우 무슨 병인지도 모른 채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도 왕왕 있다.
일부라도 석면을 사용했던 공장은 전국에 40여개가 산재해 있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중 30여 개가 부산에 밀집해 있었다고 하니 부산이야 말로 석면피해의 원천지이다. 하지만 당시 석면을 취급했던 자동차부품 공장, 조선소등의 작업장까지 합치며 그 숫자는 어마어마 할 것이라는 얘기다.
최근 기장군 정관면에 거주 하는 60대 남성이 석면폐증 확진 판정을 받을 것에 대해 이 지역 국회의원인 하태경 의원(새누리당 해운대기장군을)이 지난달 22일 논평을 냈다.
하의원은 “정관면의 경우 2012년 5월 제정된 부산시 조례에 적시된 석면 제조, 가공업체 29개 중 한 곳으로 당연히 관련 조사가 진행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확진지가 발생한 이후에야 부랴부랴 예산이 마련되는 대로 조사를 하겠다는 등 무책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부산시와 관계기관의 미온적인 태도를 질타했다.
특히 정관에서 석면폐증으로 확진 판정을 받은 M씨는 출생 이후 거주지를 옮기지 않고 이곳에서 계속 농사를 지어온 60대 남성이다. 이번 M씨의 2급 석면폐증 확진으로 이곳에서 생활했던 주민들에게는 충격을 주고 있다.
석면에 의해 발병되는 석면폐증은 석면 분진의 흡입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진폐의 하나로 기관지, 페포 등의 염증, 혜가 딱딱하게 굳어지는 섬유화등의 병변을 일으키는 질병이다. 더욱이 석면폐증은 수십년 잠복기간 후에도 발병해 석면에 의한 발병 유무를 확진하는데 혀닐적으로 어려움도 있다. 국제암연구소가 우리 몸에 암을 일으키는 것으로 확인해서 1군으로 분류한 물질에도 먼저 석면을 우선 순위로 꼽는다.
환경부와 부산시가 건강영향조사를 통한 피해자 발굴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석면피해가 잠재적으로 묻혀 있으며, 잠복기 또한 예측하기 힘들다는 점에서 실제로 얼마나 많은 피해자가 발생될지 모를 일이다. 부산시와 석면 환경센터의 보다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