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데스크 칼럼>경제성장만이 행복이 아냐...‘국민 행복지수’ 높일 수 없나
  • 기사등록 2013-03-21 00:00:00
기사수정
 
박근혜 대통령 새정부의 기조는 ‘국민 행복시대’다. 이번 새 대통령은 모든 국민들이 함께 일하고, 함께 웃을 수 있는 '행복 대한민국'을 만들겠다는 의지로 충만해 있다.

한국은 1인당 국민소득 2만 달러, 인구 5000만 명 이상의 나라들을 일컫는 ‘20-50 클럽’에 세계 7번째로 가입했다. 지난 60년 간 한국은 평균 7.6%의 고도 경제성장을 달성하면서 1인당 국민소득 2만 달러 시대를 열었다. 그러나 유엔에 따르면 한국의 행복지수는 세계 156개국 중 56위에 머무르고 있다. 한국에 비해 경제수준이 크게 떨어지는 말레이시아(51위) 태국(52위)보다 ‘행복도’ 에서 뒤처진 것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를 비롯한 여러 국제기구가 발표한 행복지수를 보면 우리나라의 행복 성적표는 창피할 정도로 초라하기만 하다. 경제가 성장한다고 국민들의 행복 만족이 만들어진다는 것은 아니라는 얘기다. 다행히 박근혜 대통령은 국민 행복지수 상승에 역대 어는 대통령보다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이에 대다수 국민들의 기대감도 최고조다.

지난 2000년대부터 모든 사람들은 경제성장만이 최고의 삶이 아니라는 것을 실감하고 있다. 실제로 삶의 질도 중요시되면서 세계곳곳에서 국민행복을 측정하는 행복지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사실 행복지수란 말은 히말라야 산맥 기슭에 위치한 작은 나라 부탄에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72년 17세의 어린 나이에 부탄 제4대 국왕이 된 지그메 싱기에 왕추크는 취임 2년만인 1974년 ‘국내총생산(GDP)이 아닌 국민총행복(GNH)을 추구하는 통치를 하겠다’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성장보다는 지속 가능한 경제발전, 환경보호, 문화진흥 그리고 좋은 통치를 국정목표로 삼았다.

부탄 왕국 국토는 한반도의 5분의1 정도로 인구는 약 70만 명, 1인당 국민소득은 2000달러에도 못 미친다. 빈곤국이지만 국민의 97%가 행복한 나라로 소개되면서 세계의 주목을 받았다.

우리정부가 발간한 시사경제용어 사전에는 행복지수를 ‘국내총생산 등 경제적 가치뿐 아니라 삶의 만족도, 미래에 대한 기대, 실업률, 자부심, 희망, 사랑 등 인간의 행복과 삶의 질을 포괄적으로 고려해 산출한 지표’라고 정의했다. OECD가 발표한 행복지수에서 한국은 36개국 중 24위다. 특히 11개 평가항목 가운데 고용=28위, 환경=29위, 건강=33위, 일과 삶의 균형=33위, 공동체 생활=35위로 이러한 부문에는 최하위권을 맴돈다. 우리나라 국민 대다수가 행복의 기운을 느끼지 못한다는 얘기다.

유엔이 공개한 ‘세계 행복보고서’에서도 한국은 10점 만점에 5.7점으로 전체 156개국 중 56위다.
소득수준이 높다고 반드시 국민이 행복하지는 않다. 행복한 삶을 위해서는 일방적인 경제성장만을 추구할 것이 아니라, 무엇이 국민행복의 조건이 되는지 검토해 봐야되는 시점이다.

한국의 새 대통령은 대선 시기부터 국민행복 만들기에 집착하고 있다. 그만큼 우리국민들이 재미있게 일하고, 재미있게 사는 행복한 나라로 만들고픈 욕심의 발로일 것이다.

행복은 개인의 가치관과 마음가짐이 정하는 것이기에 절대적 크기가 중요하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지만 상대적 크기 또한 중요하다. 아마도 행복지수에 소득불평등이나 양극화와 관련된 사회지표를 추가한다면 우리나라의 행복지수는 더 낮게 나타날 수도 있다.

박근혜 대통령은 국민 100% 행복시대를 꿈꾼다. 기초 노령연금, 무상보육, 비정규직 해소, 중산층 70% 재건, 4대 중증환자 치료, 양극화 해소 등 국민 모두의 맞춤 복지 실현을 약속하고 있다.
이러한 새정부의 강한 의지에 우리나라 국민 행복지수의 상승을 기대해도 좋지 않을까 싶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3-03-21 00:00:00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오늘의 주요뉴스더보기
부산은행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동양야금공업
원음방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