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석 달째 1%대를 기록했다.
통계청이 1일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1월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1.5%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 12월 미국(1.7%)과 독일(2.1%)보다 낮은 수치다.
경기 침체가 지속하는 상황에서 소비자물가의 하향 안정세가 이어지자 디플레이션 우려도 나온다.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디플레이션 상황에서는 부동산, 주식 등 자산 가격이 떨어져 소비와 생산 활동이 위축된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개월 연속으로 2% 미만인 것은 1999년 1월~2000년 2월 이후 13년 만에 처음이다.
기획재정부 김정관 종합정책과장은 "총수요가 어느 정도 유지되는 상황이라 그럴(디플레) 가능성은 없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통계청 안형준 물가동향과장은 "1999년은 외환위기 직후 확연하게 디플레이션이 나타난 시기지만 지금 경기상황이 그렇지는 않다"고 강조했다.
우선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달보다 0.6% 오른데다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지수도 전달보다 0.4% 올랐다. 근원물가지수 상승률은 2011년 12월(0.4%) 이후 가장 높다.
지난해 물가하락을 이끌었던 '무상보육' 등 정책효과가 사라지면 물가상승을 억제하던 힘도 약해질 전망이다.
안형준 과장은 "작년 3월 시작된 무상보육으로 물가상승률이 전년동월대비 0.5%포인트 낮아졌는데 올해 3월부터는 이 효과가 사라져 그만큼 오를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다만, 3~4세 무상보육 확대로 3월부터 물가상승률이 0.27%포인트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소비자물가상승률이 총 0.23%포인트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ㆍ에너지지수의 작년 동월 대비 상승률은 12월과 같은 1.4%로 다섯 달째 같은 수치를 나타냈다.
생활물가지수는 작년 같은 달과 전달에 견줘 0.8%씩 올랐다.
신선식품지수는 전달보다 6.1%, 1년 전보다 9.3% 올랐다. 12월보다 신선채소가 12.3% 급등했고 신선과실은 4.4%, 신선어개는 0.7% 올랐다.
지출 목적별로는 전달보다 식료품ㆍ비주류음료 부문이 1.9% 올랐고 보건 부문이 0.9%, 주류ㆍ담배 부문이 0.7% 상승했다. 의류ㆍ신발, 통신, 오락ㆍ문화 부문은 변동이 없었다.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하면 기타상품ㆍ서비스(-4.3%)와 통신(0.0%)을 제외한 나머지 모두 올랐다.
품목 성질별로는 농축수산물이 전달보다 3.3% 올랐다. 작년 1월보다는 2.1% 상승했다.
주요 품목을 보면 배추(26.0%), 피망(45.3%), 당근(44.7%), 오이(23.3%) 등이 전달보다 많이 올랐다. 굴(-10.9%), 무(-7.3%), 돼지고기(-1.5%) 가격은 내려갔다.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해선 배추(232.2%), 파(91.6%), 양파(56.2%), 당근(123.1%) 등 채소 가격이 폭등했다. 돼지고기(-24.3%), 고춧가루(-14.7%), 귤(-9.9%)은 안정됐다.
공업제품은 전월보다 0.1% 올랐으며 작년 같은 달보다 1.3% 상승했다. 전달과 비교해 식용유(9.7%), 소주(6.6%), 수입승용차(3.0%)가 올랐고 김치(-5.3%)는 내렸다.
서비스 부문은 지난달보다 0.4%, 1년 전보다 1.3% 올랐다. 이 중 전세는 작년 동월 대비 3.7%, 월세는 2.1% 올라 전체 집세가 3.2% 높아졌다.
공공서비스는 전월보다 0.7% 올랐고 작년 1월보단 1.2% 상승했다. 시내버스료(6.0%), 전철료(12.5%), 하수도료(14.0%) 등이 1년 전보다 오른 탓이다.
개인서비스는 작년 같은 달보다 0.8% 올랐다. 고등학생 학원비(8.7%), 중학생 학원비(6.8%), 초등학생 학원비(4.4%) 등 사교육비가 상승세를 보였다.
16개 광역시도별로 보면 지난달보다 물가가 가장 많이 오른 곳은 울산(1.1%)이었다. 부산ㆍ경기ㆍ대전ㆍ광주 등 10개 시도는 0.6~0.7% 올랐다. 서울ㆍ충북 등 5개 시도는 0.4~0.5% 상승했다.
기재부는 채소류 가격과 전기요금이 올랐지만 국제유가가 안정돼 1%대의 물가상승률을 기록했다고 평가했다.
물가 안정세는 당분간 계속된다고 봤다. 다만, 겨울철 농산물 수급불안과 국제곡물가의 변동성 등은 우려했다.
기재부 성창훈 물가정책과장은 "유가ㆍ환율 인하 효과가 가공식품 가격과 개인서비스 요금에 반영되도록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부당한 가격 인상에는 엄정하게 대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