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국가보훈처(처장 박승춘)는 미군 참전용사 '리차드 캐드월러더'(Richard Cadwallader, 82세, ‘53.5월-’54.5월까지 수원 미 공군 제8전투비행단 통신병 근무)씨가 6.25전쟁 중 본인의 도움으로 미군부대에서 화상치료를 받게 한 한국소녀를 찾아달라는 공식요청을 받고 '화상소녀 찾기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당시 경기도 화성시 매향리 부근에 살았던 12세 전후의 한국인 소녀(이하 화상소녀)는 3도 전신 화상을 입고 '리차드 캐드월러더'씨가 근무하고 있던 수원의 미공군부대를 찾아와 치료 도움을 요청했었던 것

'리차드 캐드월러더'씨는 수원 미공군부대에서 응급치료를 받게 하고 화상치료병동이 있던 부산MASH(육군이동외과병원)부대로 헬기까지 동원하여 이송 치료를 받게 한 소중한 인연을 평생 잊지 않고 만나기를 요청했다.

국가보훈처는 '리차드 캐드월러더'의 영상 편지와 사연을 국가보훈처 신문, 방송 보도 및 홈페이지, 온라인, 광고 캠페인을 전개하여 화상소녀를 알고 있는 국민들의 적극적인 제보를 받을 계획이다.

국민들의 적극적인 제보를 통해 경찰청 등 관계기관과 협조하여 화상소녀를 찾겠다는 계획. 화상소녀를 찾게 되면 보훈처는 '리차드 캐드월러더'씨를 올해 예정된 'UN참전용사 재방한행사'를 통해 공식 초청하여 60년만의 따뜻한 재회를 가지게 할 예정이다.

이 화상소녀는 1953년과 1954년에 경기도 화성시 매향리 근처 한 마을에 살았으며 당시 약 10~12세가량으로 지금은 70세 정도 되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당시 민간인으로는 이례적으로 헬기후송까지 받고 화상치료를 받았던 이 화상소녀가 해당 지역에서는 상당히 알려져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가족이외 이 소녀를 알고 있는 당시 지역주민들의 적극적인 제보를 기다리고 있다.

보훈처는 이번 화상소녀 찾기 캠페인을 계기로 미국,영국,캐나다 등 21개 한국전 참전용사협회와 함께 "60년前 한국과의 인연찾기" 캠페인도 진행할 예정이다.

해외에서는, 21개 참전국의 한국전 참전용사 협회가 참전용사들의 사연을 3월말까지 접수하고 국내에서는, 6.25전쟁당시 UN참전용사 및 국군을 통해 도움을 받아 찾고 싶은 우리 국민들의 소중한 인연을 국가보훈처 통합콜센터 및 홈페이지를 통해 접수를 받을 예정이다.

보훈처는 국내외 접수 상황을 정리하여 온/오프라인 대국민 캠페인을 전개, 행정안전부, 경찰청 등 관계기관과 협조하여 소중한 인연을 찾고 오는 6월 호국보훈의 달 또는 7월 정전60주년 기념일 이전에 대규모 상봉행사를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보훈처는 정전60주년을 맞는 올해 UN참전국와 참전용사들과 우리국민들과의 소중한 인연(因緣)을 재조명 해봄으로써 혈맹으로 맺은 참전국과의 우호 관계가 전후 세대에도 지속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 할 예정이다.

/ 제보처: 국가보훈처 통합 콜센터 1577-0606



전문-<편지내용>

리차드의 사연 소개 편지



제 이름은 리차드 캐드월라더입니다.

저는 한국전쟁 당시 미 공군에서 복무했습니다. 1953년, 수원 공군기지 K-13 제 8 통신 중대에 배속된 저는 서해 끝자락 외진 곳에 위치한 소규모의 미 공군 기지에 배치되었습니다. 수원 서쪽에 위치한 기지에서 1마일 떨어진 곳에는 화성 매향리에 있는 한 작은 마을이 있었습니다. 4명이 함께 근무했던 우리는 해변에 있는 작은 막사에서 작전을 수행했습니다.

굉장히 춥고 바람이 매섭게 불던 어느 겨울밤이었습니다. 한 한국인 여성이 딸(당시 약 12세)과 함께 막사 문을 노크했습니다. “에이스"라고 불리던 한국인 하우스보이가 통역을 했는데 얘기를 들어보니 이 모녀는 막사에서 5마일(8km) 떨어진 마을에서 그곳까지 걸어서 왔더군요. 딸은 집에서 불을 피우다가 휘발유 통이 터지는 바람에 심각한 화상을 입은 상태였고 한국인 여성은 딸의 화상치료를 절실히 바라고 있었습니다. 소녀는 턱에서부터 허리에 이르기까지 신체 전면부에 모두 심각한 3도 화상을 입은 상태였습니다. 게다가, 이웃 ”주민이 ”검정 타르같은“ 물질을 화상부위 전체에 바르는 바람에 감염까지 된 상태였습니다. 신속히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면 소녀는 감염으로 인해 사망할 것이 분명했습니다.

그러던 중, 소녀에게 필요한 제대로 된 병원 치료를 받게 해 줄 기회가 생겼습니다. MASH(미군 이동외과병원) 부대 지휘관이 우리 기지를 방문하게 되었고 그 때 제가 사령관님께 그 소녀가 좀 더 나은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실 수 있는지 물어보았습니다. 대답은 예스였습니다. 저와 동료들은 지프차에 올라타서 소녀를 찾으러 나섰습니다. 시간이 촉박했지만 다행스럽게도 우리는 소녀를 찾을 수 있었고 소녀를 기지로 데리고 와서 부산에 있는 군병원으로 데려다 줄 헬리콥터에 태울 수 있었습니다. 이륙하는 헬리콥터를 보면서 우리는 그제야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고 또한 소녀가 최고의 치료를 받을 것이라는 사실에 기뻤습니다.

그로부터 몇 달 후, 저는 기적처럼 소녀를 잠깐 동안 다시 만날 수 있었습니다. 부산에서 치료받은 후 상태가 얼마나 좋아졌는지 한눈에 볼 수 있었습니다. 소녀의 회복은 놀라울 정도였습니다. 제게는 절대로 잊을 수 없는 순간이었습니다!

저는 그 한국인 여성이 딸에게 보여준 커다란 무조건적인 사랑을 항상 기억해왔습니다. 놀라운 용기를 지닌 그 어린 한국인 소녀는 믿을 수 없는 고통과 무서운 불확실성, 극도의 고난을 눈물 한 방울, 불평 한 마디 없이 견뎌냈습니다. 제 이야기의 진정한 영웅은 바로 그 소녀입니다. 소녀를 다시 만날 수 있다면 제게는 영광일 것입니다. 분명 멋진 여인으로 자랐을 그 한국인 소녀를 찾도록 도와주신다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3-01-30 00:00:00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오늘의 주요뉴스더보기
부산은행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동양야금공업
원음방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