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부산시는 2012년 한해를 돌아보며 Best 10 사업을 선정하고 발표했다.


1. 글로벌 수변도시,「에코델타시티」개발 확정
○ 친수구역 지정 및 GB해제로 국제산업물류도시 2단계 본격 개발 돌입
○ 2018년까지 첨단 산업, 물류 및 R&D 기능의 친수복합도시 조성(12㎢, 5조 4천억원)
○ 경제적 파급효과 42조 7천억원, 고용유발효과 47만 4천명 기대

2. 동북아「해양수도」위상 확보의 원년
○ 해양수산부 부활 대선공약 반영, 부산항‘컨’물동량 사상최고 1,700만TEU 돌파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설립(7. 1), 해양플랜트 기자재 R&D센터 개소(8.28)
○ 국내유일 국립해양종합박물관 개관(7.9), 해양수도 부산의 새로운 랜드마크로 부상
○ 한국선급(KR) 이전(9.13), 국립해양조사원 이전(12.16)
○ 국제여객터미널 착공(10.26) 등 북항재개발사업 가시화

3. 미래 성장동력「부산연구개발특구」지정
○ 2년여의 노력 끝에 연구개발특구 지정(11.12),
국제산단, 기업체, 대학, 연구기관 등14.1㎢
○ 세계최고 R&D기반 조선해양플랜트 혁신 클러스터 구축으로
미래 성장동력 확충
○ 연간 100억원 지원 및 세제지원, 10년간 생산유발 효과 58조원,
취업유발효과 33만명 기대

4. 서울을 제치고 국내 MICE 도시 1위 등극
○ 한국관광공사 발표 2011 MICE 행사 개최 부문에서 서울을 제치고 국내 1위
○ ’12년 MICE 행사 3,710건 개최(전년도 대비 48.7% 증가) * 서울 3,576건
○ 벡스코 시설확충(46천㎡,16홀) 및 오디토리움(4,002석) 개장(6.1)
○ 세계 최대규모(120개국 55,272명 참가) 라이온스 부산세계대회 성공개최
○ 산업정책연구원 발표 도시브랜드파워지수 4년연속 국내1위 도시 선정
○ MICE 산업 활성화 등으로 외국인 관광객 260만명 시대 개막

5. 산복도로 르네상스사업, 대한민국 대표 창조도시 모델 정착
○ 감천문화마을 2012년 아시아도시경관상‘대상’수상, 연간 7만여명 관광객 방문
○ ’12년 아미?감천구역 도시기반시설 개선 등 38개사업 120억원 투입 시행
○ 전국 지자체중 최대규모 마을재생사업 추진(3개권역 9개구역, 10개년 1,500억원)

6. 대륙 관문 부산역 일원 철도부지 종합 개발 확정
○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성 최종 공인(12.13), 철도부지 종합개발 본격추진 근거 마련
○ ’23년까지 4,963억원 투입, 34만㎡ 해양, 정보, 관광지구 및 도시숲 공원으로 개발
○ 100년이상 단절됐던 북항과 원도심 연결, 부산역 일원이
북항재개발과 연계하여 유라시아대륙의 관문으로 도약

7. 낙동강 둔치, 5개 생태공원으로 재탄생
○ 대저생태공원 개장(5.3), 낙동강하구 탐방체험장 개장(7.21), 을숙도 생태공원 개장(12.17)
○ ’95년 사업추진 발표후 17년만에 낙동강 5개 둔치 생태공원(14.9㎢) 조성 마무리
○ 낙동강 하구를 생태공원 겸 레포츠 시설을 갖춘 시민휴식공간으로 탈바꿈

8. G-스타(국제게임전시회) 영구개최 기반 확보, 문화 콘텐츠산업 선도
○ 한국게임산업협회 2013~2016년 G-스타 부산 개최 확정(12.13),
부산에서 8년간(’09~’16년) G-스타 개최, 영구개최 발판 마련
○ ’12년 31개국 글로벌 게임기업 434개사 참여, 관람객 29만여명, 계약 148백만불
○ 수도권 게임사 부산이전(21개사) 등으로 도심형 청년일자리가 창출
되는 문화 콘텐츠 산업 생산도시로 탈바꿈

9. 좋은 일자리 26,000개 창출 및 청년고용 증대
○ ’12년을‘새로운 일자리 창출의 해’선포, 노, 사, 민,정 합동으로 일자리 2% 늘리기 캠페인 및 잡 페스티발 확대 등 부산형 일자리 시책 추진
○ 신규 안정적 일자리 26,273개 창출(전년대비 6천여개 증가)
○ 청년고용률 5.6%P 향상(’11년 34.1%), 청년취업자 39천명 증가(’11년 217천명)

10. 저출산 극복, 출생아수 3년 연속 증가
○ 통계청 발표 ’11년 기준 부산시 출생아수 전년대비 345명
(1.3%), 합계출산율 0.03명(3.2%)이 전년도에 이어 증가
○ 출산장려기금 1천억원 조성, 다자녀가정 우대 등
출산장려 시책 적극 추진
* 연도별 출생아수(증가율): ’10년 2,304명(9.2%), ’11년 345명
(1.3%),‘12년 9월 500명(2.4%)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2-12-28 00:00:00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오늘의 주요뉴스더보기
부산은행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동양야금공업
원음방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