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산물 유통비용이 소매가격의 절반 가까이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식탁 물가를 인상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직거래를 활성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지난 6일 농수산물유통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농산물 소매가격의 유통비용 비중이 평균 41.8%다.
이 비중이 가장 큰 품목은 엽근채소류(잎이나 뿌리를 먹는 채소류)로 평균 69.6%에 이른다.
최근 가격이 급등해 `식탁물가'를 끌어올린 김장무는 유통비용이 무려 80.0%에 달했다. 김장배추가 바로 뒤를 이어 77.1%, 당근과 상추가 각각 66.6%, 62.8%였다.
김장배추는 최근 가격이 폭등해 포기당 3천500원까지 올랐음에도 농민에게 돌아가는 돈은 고작 800원에 불과하다는 뜻이다.
김장에 쓰이는 양념채소류의 유통비용도 평균 48.0%다.
양파의 유통비용은 71.9%다. 대파(50.8%), 풋고추(48.4%) 등도 유통비용이 가격의 절반가량을 차지한다.
감귤(56.1%), 배(47.4%) 등 과일과 닭고기(52.1%), 쇠고기(42.2%) 등도 유통비용이 비싸기는 마찬가지다. 산지 소 가격이 폭락해도 소비자들이 가격 하락을 체감하기 어려운 이유다.
유통업체의 대형화도 유통비용을 줄이지는 못했다.
지난해 유통비용 41.8%를 단계별로 나눠보면 출하단계 10.0%, 도매단계 8.6%, 소매단계 23.2%다. 절반 이상의 비용이 소매단계에 들어가는 셈이다.
`유통 선진화'를 내세우며 대형 마트, 기업형슈퍼마켓(SSM) 등이 시장을 급속히 잠식했지만 소매단계 유통비용은 6년 전인 2006년(23.2%)에 비해 조금도 줄어들지 않았다.
농촌경제연구원 황의식 식품유통연구부장은 "대형 마트 등이 유통시장에서 우월한 지위를 차지하는 한 이윤을 줄여 유통비용을 축소할 이유가 없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생활협동조합(생협) 등 산지 농민과 소비자를 바로 연결하는 직거래를 활성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생협이 보편화하면 아파트 등 거주지역에서 조합을 만들어 산지 농민들과 직거래해 농산물을 직접 배달받을 수 있다. 유통단계가 줄어들어 가격이 싸지고 농민 이윤도 늘어난다.
농산물은 `산지 농민→농협ㆍ수집상→도매시장 중도매인→2차 도매인→소매점→소비자' 등 복잡한 단계를 거쳐 유통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