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농산물 유통비용이 소매가격의 절반 가까이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식탁 물가를 인상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직거래를 활성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지난 6일 농수산물유통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농산물 소매가격의 유통비용 비중이 평균 41.8%다.

이 비중이 가장 큰 품목은 엽근채소류(잎이나 뿌리를 먹는 채소류)로 평균 69.6%에 이른다.

최근 가격이 급등해 `식탁물가'를 끌어올린 김장무는 유통비용이 무려 80.0%에 달했다. 김장배추가 바로 뒤를 이어 77.1%, 당근과 상추가 각각 66.6%, 62.8%였다.

김장배추는 최근 가격이 폭등해 포기당 3천500원까지 올랐음에도 농민에게 돌아가는 돈은 고작 800원에 불과하다는 뜻이다.

김장에 쓰이는 양념채소류의 유통비용도 평균 48.0%다.

양파의 유통비용은 71.9%다. 대파(50.8%), 풋고추(48.4%) 등도 유통비용이 가격의 절반가량을 차지한다.

감귤(56.1%), 배(47.4%) 등 과일과 닭고기(52.1%), 쇠고기(42.2%) 등도 유통비용이 비싸기는 마찬가지다. 산지 소 가격이 폭락해도 소비자들이 가격 하락을 체감하기 어려운 이유다.

유통업체의 대형화도 유통비용을 줄이지는 못했다.

지난해 유통비용 41.8%를 단계별로 나눠보면 출하단계 10.0%, 도매단계 8.6%, 소매단계 23.2%다. 절반 이상의 비용이 소매단계에 들어가는 셈이다.

`유통 선진화'를 내세우며 대형 마트, 기업형슈퍼마켓(SSM) 등이 시장을 급속히 잠식했지만 소매단계 유통비용은 6년 전인 2006년(23.2%)에 비해 조금도 줄어들지 않았다.

농촌경제연구원 황의식 식품유통연구부장은 "대형 마트 등이 유통시장에서 우월한 지위를 차지하는 한 이윤을 줄여 유통비용을 축소할 이유가 없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생활협동조합(생협) 등 산지 농민과 소비자를 바로 연결하는 직거래를 활성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생협이 보편화하면 아파트 등 거주지역에서 조합을 만들어 산지 농민들과 직거래해 농산물을 직접 배달받을 수 있다. 유통단계가 줄어들어 가격이 싸지고 농민 이윤도 늘어난다.

농산물은 `산지 농민→농협ㆍ수집상→도매시장 중도매인→2차 도매인→소매점→소비자' 등 복잡한 단계를 거쳐 유통된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2-11-06 00:00:00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오늘의 주요뉴스더보기
부산은행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동양야금공업
원음방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