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부산시, 제15호 태풍‘볼라벤’대비 만전 기해 - 24일 긴급 비상 대책회의 열어
  • 기사등록 2012-08-27 00:00:00
기사수정
부산시가 제15호 태풍 ‘볼라벤’ 북상에 대비한 긴급 비상 대책회의를 지난 24일 개최하는 등 태풍 ‘볼라벤’ 북상 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부산시는 지난 24일 오후 시청 15층 재난상황실에서 김종해 부산시 행정부시장 주재로, 시 본청 전 실?국?본부장과 16개 구?군의 부구청장?부군수가 참석한 가운데 제15호 태풍 ‘볼라벤’ 북상에 대비한 긴급 비상 대책회의를 가졌다.

이날 회의에서는 지난 8월 11일부터 많은 비가 내린 상태에서 또다시 태풍이 내습하여 인명피해가 예상됨에 따라 지역별 대비태세 확립에 만전을 당부했다.

태풍에 대비해 비상대책본부를 가동하고 공무원 비상근무 실시 등 재난에 대비한 근무태세를 확립하는 한편, 특히 △산사태위험지구, 노후축대, 절개지 등 붕괴 위험이 높은 취약 지구에 대한 철저한 점검과 위험지역은 사전 대피 실시 △세월교, 하천 내 친수공간, 갯바위, 방파제 등 위험지역에는 사전에 출입통제를 위한 재난안전선 설치 △선박결박조치, 어망?어구, 과수목 비닐하우스, 간판 등의 철저한 관리 △대규모 공사장내 절개지, 하천내 설치된 공사용 가설도로 및 자재 제거 등 시민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조치를 당부했다.

이와 함께 부산시는 태풍 대비 국민행동요령을 시 홈페이지 등을 통해 적극 홍보하는 한편, 시민들에게 집주변 하수구, 노후축대?옹벽, 절개지 등을 사전점검하고, 산사태?상습침수지역 등 위험지역 내 주민은 안전한 곳으로 사전 대피할 것을 강조했다.
 
# 태풍대비 국민 행동요령...

태풍 오기 전에는
TV나 라디오를 수신하여 태풍의 진로와 도달시간을 숙지합시다.
가정의 하수구나 집주변의 배수구를 점검하고 막힌 곳을 뚫어야 합니다.
침수나 산사태가 일어날 위험이 있는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은 대피장소와 비상연락방법을 미리 알아둡시다.
하천 근처에 주차된 자동차는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시다.
응급 약품, 손전등, 식수, 비상식량 등의 생필품은 미리 준비합시다.
바람에 날아갈 위험이 있는 지붕, 간판, 창문, 출입문 또는 마당이나 외부에 있는 헌 가구, 놀이기구, 자전거 등은 단단히 고정합시다.
공사장 근처는 위험하오니 가까이 가지 맙시다.
전신주, 가로등, 신호등은 손으로 만지거나 가까이 가지 맙시다.
감전의 위험이 있으니 집 안팎의 전기수리는 하지 맙시다.
고층아파트 등 대형·고층건물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유리창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젖은 신문지, 테이프 등을 창문에 붙이고 창문 가까이 접근하지 맙시다.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맙시다.
물에 잠긴 도로로 걸어가거나 차량을 운행하지 맙시다.
대피할 때에는 수도와 가스 밸브를 잠그고 전기차단기를 내려둡시다.
집주변이나 경작지의 용·배수로를 점검합시다.
어업활동을 하지 마시고 선박을 단단히 묶어 둡시다.
어로시설을 철거하거나 고정합시다.
주택주변의 산사태 위험이 있으면 미리 대피합시다.
위험한 물건이 집주변에 있다면 미리 제거합시다.
논둑을 미리 점검하시고 물꼬를 조정합시다.
선박을 단단히 묶어두시고 어망·어구 등을 안전한 곳으로 옮깁시다.
 
태풍 주의보 때는
1. 도시지역에서는
저지대.상습침수지역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를 준비합시다.
공사장 근처는 위험하오니 가까이 가지 맙시다.
전신주, 가로등, 신호등을 손으로 만지거나 가까이 가지 맙시다.
감전의 위험이 있으니 집 안팎의 전기수리는 하지 맙시다.
운전 중일 경우 감속운행 합시다.
천둥?번개가 칠 경우 건물 안이나 낮은 곳으로 대피합시다.
간판, 창문 등 날아갈 위험이 있는 물건은 단단히 고정합시다.
송전철탑이 넘어졌을 때는 119나 시·군·구청 또는 한전에 즉시 연락합시다.
집안의 창문이나 출입문을 잠가 둡시다.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맙시다.
대피할 때에는 수도, 가스, 전기는 반드시 차단합시다.
라디오, TV, 인터넷을 통해 기상예보 및 태풍상황을 잘 알아 둡시다.

2. 농촌지역에서는
저지대?상습침수지역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를 준비합시다.
공사장 근처는 위험하오니 가까이 가지 맙시다.
감전위험이 있으니 고압전선 근처에 가지 맙시다.
집 안팎의 전기수리를 하지 맙시다.
천둥·번개가 칠 경우 건물 안이나 낮은 곳으로 대피합시다.
바람에 지붕이 날아가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하고 바람에 날아갈 수 있는 물건을 단단히 묶어 둡시다.
송전철탑이 넘어졌을 때는 119나 시·군·구청 또는 한전에 즉시 연락합시다.
집안의 창문이나 출입문을 잠가 둡시다.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맙시다.
라디오, TV, 인터넷을 통해 기상예보 및 태풍상황을 잘 알아 둡시다.
경작지 용·배수로를 점검 하는 행위는 하지 맙시다.
산간계곡의 야영객은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시다.
비닐하우스 등의 농업시설물을 점검합시다.

3. 해안지역에서는
저지대·상습침수지역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를 준비합시다.
침수가 예상되는 건물의 지하공간에는 주차를 하지 마시고, 지하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대피합시다.
전신주, 가로등, 신호등을 손으로 만지거나 가까이 가지 맙시다.
집 안팎의 전기수리를 하지 맙시다.
공사장 근처는 위험하오니 가까이 가지 맙시다.
해안도로를 운전하지 맙시다.
천둥·번개가 칠 경우 건물 안이나 낮은 곳으로 대피합시다.
간판, 창문 등 날아갈 위험이 있는 물건은 단단히 고정합시다.
송전철탑이 넘어졌을 때는 119나 시·군·구청 또는 한전에 즉시 연락합시다.
집안의 창문이나 출입문을 잠가 둡시다.
노약자나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맙시다.
라디오, TV, 인터넷을 통해 기상예보 및 태풍상황을 잘 알아 둡시다.
바닷가 근처나 저지대에 계신 주민은 대피 준비를 합시다.
어업활동이나 선박을 묶는 행위를 하지 맙시다.
어로시설을 철거하거나 고정하는 행위를 하지 맙시다.
해수욕장 이용은 하지 맙시다.
 
태풍 경보 때는
1. 도시지역에서는
침수가 예상되는 건물의 지하공간에는 주차를 하지 마시고, 지하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과 붕괴 우려가 있는 노후주택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시다.
건물의 간판 및 위험시설물 주변으로 걸어가거나 접근하지 맙시다.
고층아파트 등 대형·고층건물에 거주하고 계신 주민은 유리창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젖은 신문지, 테이프 등을 창문에 붙이고 창문 가까이 접근하지 맙시다.
집 안팎의 전기수리를 하지 맙시다.
모래주머니 등을 이용하여 물이 넘쳐서 흐르는 것을 막읍시다.
바람에 날아갈 물건이 집주변에 있다면 미리 제거합시다.
도로에 있는 차량은 속도를 줄여서 운전합시다.
아파트 등 고층건물 옥상, 지하실과 하수도 맨홀에 접근하지 맙시다.
정전 때 사용 가능한 손전등을 준비하시고 가족 간의 비상연락방법과 대피방법을 미리 의논합시다.

2.. 농촌지역에서는
모래주머니 등을 이용하여 하천물이 넘쳐서 흐르지 않도록 하여 농경지 침수를 예방합시다.
논둑을 미리 점검하거나 물꼬를 조정하지 맙시다.
교량은 안전한지 확인한 후에 이용합시다.
산사태가 일어날 수 있는 비탈면 근처에 접근하지 맙시다.
이웃이나 가족 간의 연락방법과 비상시 대피방법을 확인합시다.
농기계나 가축 등을 안전한 장소로 옮깁시다.
비닐하우스, 인삼재배시설 등을 단단히 묶어 둡시다.

3. 해안지역에서는
해안가의 위험한 비탈면에 접근하지 맙시다.
집 근처에 위험한 물건이 있다면 미리 치웁시다.
바닷가의 저지대 주민은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시다.
교량은 안전한지 확인 후에 이용합시다.
선박을 묶거나 어망·어구 등을 옮기는 행위를 하지 맙시다.
가족 간의 연락방법이나 대피방법을 미리 확인합시다.
 
태풍이 지나간 후에는 시에는
파손된 상하수도나 도로가 있다면 시·군·구청이나 읍·면·동사무소에 연락합시다.
비상 식수가 떨어졌더라도 아무 물을 먹지 마시시고 물은 꼭 끓여 드십시오.
침수된 집안은 가스가 차 있을 수 있으니 환기시킨 후 들어가시고 전기, 가스, 수도시설은 손대지 마시고 전문 업체에 연락하여 사용합시다.
사유시설 등에 대한 보수·복구 시에는 반드시 사진을 찍어 두십시오.
제방이 붕괴될 수 있으니 제방 근처에 가지 맙시다.
감전의 위험이 있으니 바닥에 떨어진 전선 근처에 가지 맙시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2-08-27 00:00:00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오늘의 주요뉴스더보기
부산은행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동양야금공업
원음방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