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해공항 수용능력 이미 한계점
# 이전건설·확장… 타당성 연구·조사 불가피
# 정부, 서둘러 전략 수정할 듯
정부가 신공항 건설·확장에 대한 재검토 작업을 앞당겨 착수키로 했다. 정부의 이러한 방침은 김해·제주 같은 일부 공항 항공편과 이용객이 포화상태에 달한 점을 감안한 조치로 받아들여진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최근 신공항에 대한 검토작업을 당초보다 앞당겨 내년 착수키로 했다. 일부 공항의 이용자와 항공편이 급증하면서 시설 처리용량이 포화상태에 이르러 조기에 신공항 건설과 기존시설 확장여부에 대한 정부계획을 수립할 필요성이 제기됐다는 것이다.
검토대상은 전국 17개 공항이다. 하지만 운송능력이 한계상황에 도달해 이전·확장이 당장 필요한 곳은 김해공항·제주공항 두 곳이다. 실제로 김해공항의 올 상반기 이용자는 사상최고인 469만1천여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시기보다 무려 12.9% 늘어난 수치다.
지난해 3월 정부는 ‘경제성이 없다’며 동남권 신공항 건설사업을 백지화했다. 그러나 김해공항과 제주공항의 수용능력이 생각보다 폭발적으로 한계상황에 도달하자 서둘러 전략을 수정했다. 부산으로선 예상보다 빨리 사업을 추진할 기회를 맞은 것이다.
이번 사업에 관련해, 국토해양부는 매 5년마다 수립하는 차기(제5차) 전국공항개발 중장기종합계획(2016~2020년)을 앞두고 항공수요를 포함한 조사·연구를 통상적인 기간(1.5~2년) 보다 늘려 시행하는 방안이라고 밝혔다.
조사·연구기간을 통상적인 기간보다 1년 정도 늘려 잡겠다는 것이지, 특정지역의 신공항 건설을 위해 1년 당기는 검토 착수가 아니라고 해명하고 있다. 하지만 국토부는 김해·제주공항의 항공수요가 예상보다 높아 조기 포화상태를 우려하고 있다는 데 인식을 같이 하고 있다.
문제는 정부가 앞으로 진행할 검토작업에서 김해공항에 대해 어떤 결론을 내리느냐 하는 데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대해 부산시와 부산정치권, 시민사회단체의 해답은 확고하다. 주변의 지리적 환경을 감안할 때 김해공항은 더는 확장이 불가능한 만큼 안전하고, 24시간 운영이 가능한 가덕도 이전 외에는 대안이 없다는 입장을 천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