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축은행발 비리 사건이 전국을 강타하고 있다. 대통령 친형인 이상득 전 의원, 청와대관계자, 국회의원, 기관단체장 등 소위 유명세를 탄다는 인사들이 줄줄이 부패에 연루, 곤욕을 치르고 있다.
도덕적으로 완벽한 정권을 자랑하던 이명박 정부도 이번 소나기는 피하지 못하고 있다. 소나기가 지나고 나면 그만이라고 생각하지만, 국지성 집중 호우라면 그냥 지나칠 수 없다.
저축은행 비리는 이번 정권만 있었던 게 아니다. 역대 정권을 보면 김영삼 정부 때 장학로 청와대 제1부속실장이 기업체 등에서 20여억 원을 받은 혐의로 사법처리 됐고, 노무현 정부 때 양길승 청와대 제1부속실장이 나이트클럽 향응 논란 끝에 물러난 바 있다. 대통령과 가까운 거리에 있을수록 부패의 유혹은 크기 마련이다.
비리 의혹이 어쩌다 여기까지 왔는지 참담할 따름이다. 돌이켜보면 이 정권의 권력 실세들은 대부분 부패에 연루돼 사법처리 됐다. 이 전 의원과 최시중 전 방송통신위원장,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 등 권력실세 3인방을 비롯해 은진수 전 감사원 감사위원, 김해수 전 청와대 정무비서관, 추부길 전 홍보기획비서관 등이 이미 사법처리 됐다. 또 김세욱 전 청와대 선임행정관이 김찬경 미래저축은행 회장으로부터 1억2천만원 상당의 금괴를 받은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는 상황이다.
이 대통령은 2008년 2월말 취임 후 처음 주재한 확대비서관회의에서 역대 정권에서 예외 없이 터져 나왔던 청와대 직원들과 관련된 각종 비리와 부정부패를 경계하는 메시지를 내놓은 바 있다. 그러나 이제 임기를 반년 남짓 남겨놓은 지금 그때의 메시지는 공허한 메아리가 돼버렸다. 대통령이 청렴을 외치는 동안 측근들은 호가호위(狐假虎威)한 것이다. 정권말기 마다 터져 나오는 이 같은 권력형 비리의 악순환은 경제 선진국을 바라보는 대한민국을 정치 후진국으로 주저앉히고 있다.
이제는 비리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야 한다. 연말에는 대통령 선거가 실시된다. 대선 후보들은 주변의 부패를 막고 권력의 공공성을 회복할 특단의 선언이나 공약 등의 조치를 면밀히 강구해 발표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