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남권 상생발전의 새 지평을 열어 갈 동남권 광역교통본부가 지난 5월 29일 출범한지 불과 이십 여일 만에 첫 결실이 나왔다.
진해 일반 시내버스인 305번과 315번 버스의 부산지역 정차를 허용하기로 한 것이다. 305번과 315번 버스는 진해 속천부두에서 출발하여 녹산산업단지를 경유하여 신항만 한진해운터미널까지 운행하는 노선으로, 부산 시역내는 무정차로 운행함으로써 신항으로 출퇴근하는 근로자 및 인근 주민들의 불편으로 창원시는 녹산산단 입구와 신항내 정차 허용을 부산시에 요청해 왔다.
동남권광역교통본부는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부산시와 꾸준히 접촉해온 결과 부산시가 창원버스의 부산시역내 무정차구간에 정차를 허용키로 했다. 이렇게 됨으로써 그동안 창원지역의 신항쪽 방문 불편 문제가 해소될 것으로 기대되며 앞으로 부산·경남과의 교통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새로운 전환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결정은 부산시가 동남권의 상생발전을 도모하는 차원에서 협조를 함으로써 동남권 광역교통본부가 이러한 결정을 할 수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동남권 광역교통본부는 3개 시·도간 광역교통계획 수립과 현안 해결, 교통정책 협의와 조정 등의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3개 시·도 공무원 7명이 파견되어 지난 5월 29일 개소식을 갖고 업무를 시작하자마자 동남권 광역교통 현안사항을 파악하는 등 자료를 수집하고 현안 해결을 위해 노력해 왔다.
또한 광역교통권을 형성하고 있는 부․울․경이 거시적인 안목에서 교통현안 문제를 풀어나갈 수 있는 단초가 되어 향후 각종 시내버스 노선 조정 등 현안에도 물꼬가 트일 것으로 보인다.
김정곤 동남권광역교통본부장은 “광역교통본부 설립 이래 광역교통 문제 해결의 첫 작품이라는 데 큰 의미가 있고 쉬운 일부터 차근차근 풀어 나가다면 앞으로더 큰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본다.”면서 기대감을 나타내고 “아울러 3개 시․도의 보다 적극적인 협력으로 상생 발전을 이루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