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짜며 독이 없고, 먹으면 기(氣)를 보(補)하며 장(腸)과 기름의 맛이 더 좋아’ 버릴 것이 없는 대구를 인공위성으로 추적한다.

국립수산과학원 남동해수산연구소는 지난달 28일 대구의 서식 수온과 회유경로를 알아내기 위해 소형 전자표지표(Pop-up archival tag)부착한 대구를 거제도 외포 앞바다에서 방류했다고 밝혔다.

전자표지표(Pop-up archival tag)는 어류몸체에 부착해 어류의 행동을 측정할 때 사용하는 무선 발신 장치이다. 작년 3월 전자표지표를 부착해 방류한 대구 1마리의 회유 경로를 모니터링한 결과, 90일 동안 독도를 향하여 북상하다가 독도 남방해역에서 다시 남하해 부산과 일본 오키제도 중간지점까지 도달했다.

남동해수산연구소에 따르면 올해는 보다 정확한 대구의 회유경로 파악을 위해 수신 기간이 180일과 250일로 설정된 전자표지표를 부착한 대구 2마리를 방류했다고 전했다. 이어 이달 중으로 강원도 고성에서도 전자표지표를 부착한 대구를 방류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남동해수산연구소에서는 2010년부터 재래식 표지표를 부착한 대구를 매년 거제도 외포 앞바다에 방류하고 있다.

남동해수산연구소 김정년 박사는 “대구의 자원회복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대구의 회유경로 및 서식환경 파악이 매우 중요하므로 표지표가 부착된 대구를 잡은 어업인, 일반시민들께서는 관련 정보를 국립수산과학원(055-640-4761)으로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2-03-08 00:00:00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오늘의 주요뉴스더보기
부산은행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동양야금공업
원음방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