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남해는 수산자원의 보고(寶庫) - 우리나라 연근해어업 총 어획량의 70% 차지
  • 기사등록 2012-03-06 00:00:00
기사수정
 
우리나라 바다 중 수산물 어획량이 가장 많은 곳은 어디일까? 남해가 연간 92만 톤(최근 40년 평균)을 어획해 전체 어획량 132만 톤 중 70%로 생산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연간 어획량은 동해가 18만 톤, 서해 19만 톤, 남해 92만 톤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리나라 바다면적은 동해 1,007,600㎢, 서해 404,000㎢, 남해 75,400㎢로 각 해역 전체 면적으로 분포돼 있다.

국립수산과학원(원장 직무대리 김영섭) 남서해수산연구소는 최근 40년 간(1970∼2010년)의 연근해 어업생산량 자료를 분석한 결과, 남해가 우리나라 국민들의 단백질 공급원으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우리나라 연근해 전체 40년 연평균 132만 톤 수산물 어획량 중, 어류는 약 94만 톤으로 남해가 약 73만 톤(약 78.4%)이었고, 1971년 이 후 남해의 어류 어획량은 꾸준히 증가경향을 보였다.

연대별 주요 어종의 변화를 보면 ▶1970년대 멸치, 고등어, 갈치, 쥐치 ▶1980년대 쥐치, 멸치, 정어리, 고등어, 갈치 ▶1990년대 멸치, 고등어, 오징어, 갈치 ▶2000년대 멸치, 고등어, 오징어, 갈치 등으로 바뀌었다.

또한 주요 어종의 변화와 함께 온대성 기후 어종인 멸치, 고등어, 오징어 3종류의 어획량이 1970년대 40% 전후에서 1990년대 이후 60% 이상 차지해 난류성 어종의 비율이 증가했다. 지난 40년 간 생산평균은 패류 약 7.6만 톤, 갑각류 8.0만 톤, 연체동물 15.7만 톤(연근해어업 대상)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남해가 생산력이 높은 이유는 작은 바다 면적에도 불구하고 주요 어종의 산란장 및 성육장으로써 그 가치를 증명하는 것이며, 우리나라 주요 근해어업인 대형선망과 저인망, 근해안강망, 근해자망 등과 멸치를 주 어업대상으로 하는 기선권현망어업의 어장이 대부분 남해에 형성되기 때문이다.

양식 생산 또한 남해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지난 21년 간(1990~2010), 전체 평균생산량이 98만 톤으로 해조류 약 61만 톤, 패류 약 31만 톤, 어류 약 4.5만 톤이 생산되었으며, 이 중 남해의 양식생산량은 약 90만 톤으로 전체 양식생산의 91.8%를 차지한다. 지난 21년 간 양식 생산량은 동해 8,900톤, 서해 71,800톤인 것에 비해 남해가 899,900톤이다.

한편 농림수산식품부와 국립수산과학원은 수산자원 남획과 해양환경 악화 등으로 인한 바다의 황폐화를 막고 연근해 수산자원의 회복을 위해 1996년부터 다양한 지원 정책과 자원회복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남서해수산연구소 장대수 과장은 “남해 어업생산의 지속적 유지를 위해 주요 부어류(浮魚類)의 산란과 성육장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기후변화에 따른 주요 어종의 변화 연구, 자원회복 대상종의 확대를 목표로 연구 업무를 적극 수행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2-03-06 00:00:00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오늘의 주요뉴스더보기
부산은행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동양야금공업
원음방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