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우리 사회에서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개념이라면, 양극화란 말일 것입니다. 잘 사는 사람과 못 사는 사람의 차이가 극단으로 몰리면서 중산층이 사라져 버리는 현상이 우려할 정도라고 한다.
이런 현상을 그대로 두면, ‘대한민국’이라는 국호가 ‘대한양국’으로 불어질지도 모르겠다. 언젠가 조선족이 우스개로 하던 소리가 생각난다. 중국이 ‘차이나’라고 불리는 것은 부자와 빈자의 차이가 너무 차이가 심하게 나기 때문이란다.
경제적인 양극화도 심각하지만 더 심각한 것은 이념의 양극화는 더 심각하다. 소위 개혁을 내세우는 진보파와, 안정을 내세우는 보수파의 대립이 그 예다.
개혁 지상주의 정책은 한편으로 우리 사회의 곳곳을 대립과 갈등으로 몰아넣고 있는 것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가는 것이 대세라고 하지만, 변화하는 것이, 바꾸는 것이 전부 정이고, 선이고, 진리일 수 없다는 것이다.
어쩌면 대다수 국민이 바라는 것은 첨단과 경쟁 속으로 국민을 몰아넣는 개혁의 강공이 아니라 급격한 혁신을 반대하는 안정 희구의 정서가 강하다는 것이다.
일부 단체가 이끄는 개혁 논리에는 많은 논리적 모순의 때가 묻을 수밖에 없다. 무슨 정책을 추진하는 데 있어서 단골로 써먹는 근거 논리가 국민의 여론이다.
아무 정책에나 국민의 여론이 적확한 근거로 쓰일 것이라는 발상은 개인주의이나 기성정치인에게 신물이난 일부일 뿐이다.
MB를 대통령으로 선택했을 때 우리는 어찌했던가. 약간의 도덕적인 흠집보다 경제살리기에 우선하지 않았던가. 커다란 변화는 전문가적 안목이 필요한 사안이다.
우리 사회는 요즘 곳곳이 대립과 반목으로 얼룩져 있습니다. 가장 가깝게 지내며 협조해야 할 검찰과 경찰이, 교사와 교육부가, 사립재단과 정부가 서로 싸우고 있다.
투쟁은 증오를 근간으로 해서 출발하는 것이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면 사태를 극으로 치닫게 한다. 문제는 사이의 간격을 우리 사이에서 남과 남 사이로 갈라놓는 설익은 정책 때문이다. 개혁만은 능사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