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마가 끝나고 낮 최고기온이 30℃ 이상을 훌쩍 오르내리면서 비브리오 패혈증으로 인한 세균성 감염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립수산과학원(원장 김영만)은 여름철 수산물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병원성 비브리오 식중독 예방을 위해 몇 가지 사항을 당부했다.
▲
먼저 생선회를 조리할 때에는 신선한 어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살아있는 활어의 근육은 무균상태로 병원성 비브리오균이 없으나 사후 시간이 경과하면서 근육이 물러지면 아가미, 껍질 등에 묻어 있던 세균이 근육 속으로 침투하게 된다.
▲
생선회를 조리할 때에는 반드시 수돗물로 씻어주는 것이 좋다.
생선의 내장, 아가미, 비늘 등을 제거한 후 수돗물로 씻어주면 부착한 비브리오균을 씻어낼 뿐만 아니라 사멸시키는 효과까지 있다.
▲
조리기구는 확실하게 씻고 소독한다.
비늘, 지느러미 및 내장 제거에 사용한 조리 기구(칼, 도마, 행주 등)를 씻고 소독하면 2차 오염을 막을 수 있다.
▲
조리한 생선회는 가급적 빨리 섭취하거나 냉장 보관한다.
비브리오균은 2배로 증가하는데 약 10~20분이 소요되므로 이 균에 오염된 생선회를 여름철 실온에 3~4시간동안 방치할 경우 식중독이 유발될 수 있다.
▲
건강한 사람은 비브리오 패혈균을 너무 염려하지 않아도 된다.
세균은 산(酸)에 약하므로 위에서 음식물이 소화될 때 위산에 의해 세균은 대부분 죽는다.
▲
그러나, 면역기능이 약한 사람은 익혀서 먹는 것이 좋다.
제산제, 위장약 복용자, 간질환(간기능 저하자, 알코올성 간질환 등), 당뇨 등 질환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60℃이상 가열한 수산물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