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전국 최초로 분산 에너지 특화 지역으로 최종 확정됐다. 5일 열린 에너지 위원회에서 부산, 전남, 경기, 제주 4개 지자체가 분산 특구로 지정되었으며, 울산, 경북, 충남 3곳은 결정을 보류했다.
분산 에너지 특구는 수요지 인근에서 전력을 생산·소비하는 '에너지 지산지소' 체계를 구축하는 제도로, 새 정부의 핵심 에너지 정책 중 하나다. 특히, 특구 내 분산 에너지 사업자는 전력 시장을 거치지 않고 직접 거래가 가능해 지역 단위 에너지 생태계 조성에 기여할 전망이다.
부산시는 '신산업 활성화형'으로 지정되었으며, 대규모 ESS 설치와 AI 기반 에너지 관리 효율화를 핵심으로 추진한다. 에코델타시티, 명지지구, 강서권 6개 산단 등 총 49.9㎢가 대상이며, ESS는 리튬 인산철 배터리를 활용해 전력 저장과 공급을 최적화한다.
이번 지정으로 부산은 전기 요금 절감, 설비 투자비 절감, 재생에너지 출력 제한 해소, 기업 유치 촉진 등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전기 요금은 최대 8% 절감될 예정이며, 부산 전체적으로 연간 157억 원을 아낄 수 있다. 또한, ESS 구독 서비스를 통해 2,500억 원의 설비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고, 재생에너지 출력 제한 해소를 통해 연간 44억 원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안정적이고 저렴한 전력 공급 기반은 첨단 기업 유치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박형준 시장은 "이번 지정은 부산의 산업 및 도시 경쟁력을 높이는 전환점"이라며, "에너지 자립과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친환경 에너지 글로벌 허브 도시로 나아가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