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부산교육청, 입찰과정 물의 빚어... - 민원인들 짜맞추기 입찰이라며 불평
  • 기사등록 2011-05-23 00:00:00
기사수정
부산시교육청이 입찰 경쟁에 대한 잘못된 공시 게재나 입찰과정 등 애매한 업무처리로 논란이 되고 있다.

최근 부산교육청은 지난 3월 폐교된 일부 초등학교를 폐교재산의 활용촉진을 위한 특별법에 따라 공유재산 유상대부를 실시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일부 업체에 대한 짜맞추기식 입찰이 아니냐는 지적을 받고 있다.

부산시교육청의 입찰과정은 교육청이 입찰서류를 접수 받아 심의위원(내부 9명, 외부 3명)의 심의를 거쳐 선정된 업체 또는 개인이 입찰에 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선정된 업체는 교육청이 의뢰한 IT업체인 ‘옴비드’ 프로그램에 입찰하는 순서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입찰과정에 대한 현재 진행 사항이나 입찰업체 수를 열람하는 등의 궁금증을 알고 싶어도 교육청 홈페이지나 ‘옴비드’ 홈페이지에서는 이에 대한 내용은 아예 없다. 또 이러한 문제에 대한 민원인들의 지적에 '옴비드' 측과 교육청은 개인의 정보 보호 차원에서 입찰 진행과정을 사이트에 올리지 않는다는 황당한 답변으로 설명했다.

이미 구색에 맞춰 끼어놓는 식의 입찰이 아니라면 공개입찰은 다양하고 많은 업체나 개인이 참여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 아니냐는 주위의 불평이다.

또 공고 홍보 기간과 입찰에 관해서는 개인 정보를 유출하지 않고도 얼마든지 입찰의 현재 진행 사항이나 입찰업체 수를 열람하는 등의 궁금증을 충분히 알려야 한다는 게 맞다는 얘기이다.

알려고도 말고, 알지도 말라. 이쯤 되면 상식적으로 이해가 안 된다. 해당부서에서는 ‘이번 입찰에 응한 업체가 2곳이며, 그 2곳 중 입찰과정을 거쳐 1곳이 낙찰된다’고 구두로 취재기자에게 설명하고 있다. 이런 판국에 부산교육청의 입찰과정이 투명하다고만 하면 억지라는 게 민원인들의 가슴앓이다.

일반적으로 공공기관에서는 조달청의 ‘나라장터’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 ‘나라장터’의 경우 입찰과정을 소상하게 알 수가 있도록 공개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적은 수의 입찰자가 응했을 경우라든지 또는 입찰에 행여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을 시는 재입찰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등 나름대로 일반상식의 테두리를 벗어날 수 없도록 프로그램이 짜여져 있다.

이번 부산교육청의 입찰과정이나 프로그램을 본 한 전문가는 “우리나라가 수기로 입찰하고 낙찰자를 선정하는 케케묵은 입찰형태가 바뀐 지는 이미 오래다”며 “부산교육청의 입찰방법이 비록 정보시대에 맞게 맞춘 것처럼 보이나, 보통의 상식으로는 이해가 되질 않는 부분이 많다”고 말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1-05-23 00:00:00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오늘의 주요뉴스더보기
부산은행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동양야금공업
원음방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