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5주년 3·15의거 기념식이 15일 창원 국립 3·15 민주묘지에서 개최됐다. '찬란한 봄볕에 물들며 걷는 길'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날 행사에는 강정애 국가보훈부 장관, 박완수 경상남도지사 등 주요 인사들과 3·15의거 유공자 및 유족 600여 명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국립 3·15 민주묘지를 참배하며 희생 영령들을 추모했다. 기념식은 여는 공연, 국민의례, 기념공연, 기념사, 헌정공연, 3·15의거의 노래 제창 순으로 진행됐다.
여는 공연에서는 민주화 운동의 흐름을 조명하는 영상과 양산 소년소녀합창단의 합창이 펼쳐졌다. 이어 3·15기념사업회장의 의거 배경 소개와 경남대학교 학생들의 3·15의거 취재 영상이 상영됐다. 가수 황가람은 '나는 반딧불'을 부르며 민주주의 정신을 기렸다.
헌정공연에서는 3·15연합합창단이 '함께 걸어요'를 합창했고, 참석자들은 '3·15의거의 노래'를 제창하며 기념식을 마무리했다.
강정애 국가보훈부 장관은 "3·15의거는 4·19혁명의 도화선이자 국민이 정의를 위해 용기와 실천을 보여준 역사"라며 "이번 기념식이 그날의 학생과 시민들을 기억하고 보훈의 가치를 되새기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박완수 경남도지사는 "나라를 위해 헌신한 분들이 있었기에 오늘의 대한민국이 있다"라며 "3·15의거의 숭고한 정신을 계승해 자유롭고 정의로운 사회를 만들겠다"라고 밝혔다.
3·15의거는 1960년 3월 15일 마산 시민과 학생들이 이승만 정권의 부정선거에 맞서 일어난 대한민국 최초의 유혈 민주화운동이다. 경찰의 강경 진압으로 희생된 김주열 열사의 시신이 4월 11일 발견되면서 시위는 전국으로 확산됐고, 4·19 혁명으로 이어졌다.
경남도는 매년 추모제와 전국 백일장 대회 등 다양한 기념행사를 개최하며 3·15 정신을 전국적으로 확산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