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는 5일 도청에서 '2025년 경남 인구 대책 수립을 위한 추진과제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회의는 지난해 9월 발표한 '인구 위기 감소 대응 종합 대책'의 첫 시행계획을 점검하고, 실효성 있는 대책 수립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열렸다.
회의에는 박명균 도 행정부지사와 인구 시책 담당 실 국장, 18개 시군 인구 담당 부서장, 전문가 자문단 등 30여 명이 참석했다. 회의는 2025년 경남 인구 대책 시행계획 추진 방안, 시군 인구 대책 보고, 종합토론 순으로 진행됐다.
경남도는 2030년까지 합계출산율 1.0명 회복, 청년 인구 비중 20% 유지, 외국 인력 10만 명 유입을 통해 총인구 330만 명 유지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3대 추진 전략과 10대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실행계획을 수립해 인구 대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기존 사업들은 지난해 실적과 정책 수요, 정책 수요자 만족도 등을 확인해 올해 사업 계획에 반영할 예정이다. 또 결혼 공제 사업과 아빠 육아 휴직 장려금 등 내년 시행 예정인 사업들도 사전 절차를 진행할 수 있도록 점검할 계획이다.
도는 시군의 인구 대책을 함께 점검해 사업 추진 동력을 강화하고, 전문가와의 토론을 통해 인구 대책의 효과성을 높일 방침이다.
박명균 부지사는 "지난해 저출생 추세가 반등하며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난 만큼, 정책적 뒷받침을 통해 인구 유입과 출산율 증가 추세를 이어가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실효성 있는 인구 대책 수립과 함께 성과 중심의 사업 관리를 통해 인구감소에 적극 대응하겠다"라고 말했다.
정민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