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수필가 이정자


음악의 격렬함이 가슴을 파고든다. 거실 한 켠에 놓인 레코드에서 흘러나오는 오케스트라의 현악기와 관, 타악기들이 쏟아내는 음들이 집안 가득 울려 퍼져서이다. 이 음악을 귀 기울여 듣노라니 마치 갑작스럽게 닥친 운명에 절규라도 하는듯한 음악 첫 도입 부분이 매우 인상적이다. 베토벤의 5번째 작품인 운명 교향곡이 그것이다.

이 음악에 매료돼 작품의 1악장이 채 끝나기도 전에 나는 곧바로 4악장을 재생했다. 나는 운명 교향곡의 전 악장 중에서 4악장을 제일 좋아한다. 다른 악장들 보다 4악장을 듣고 있으면 왠지 모를 환희에 찬 기분과 성공 궤도에 오른 훗날 내 모습을 한껏 상상하게 되곤 해서다.


 베토벤은 독일의 작곡가로 합창 교향곡 뿐만 아니라 여러 악기들에 관한 곡을 작곡했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작품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교향곡 작품들이다. 우리에게 가장 널리 알려진 교향곡 작품은 베토벤의 5번째 교향곡 운명 교향곡이다. 사실 이 운명이라는 제목보다도 베토벤 5번 교향곡이라고 칭하는 것이 맞는 말이다. 하지만 베토벤이 이 곡을 작곡할 때 운명이 문을 두드린다라는 표현을 하여 제목이 이렇게 붙여진 듯하다.


 이 작품이 완성되기 전까지 베토벤은 자신에게 닥쳐온 시련과 끝없이 싸워야만 했다. 30대에 갑자기 찾아온 청력 상실로 작곡을 하는데 있어 어려움을 느꼈다. 귀가 점점 안 들리기 시작했고 상황은 좀체 낳아 질 기미가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베토벤은 포기 하지 않고 작곡에 몰두 하고 전념했다.


 보통 사람의 경우에 이런 상황에 맞닥뜨리면 아예 자신의 일을 포기하거나 혹은 절망했을 것이다. 음악을 하는 사람에게 온전한 청력은 생명과도 같아 소중하고 가장 기본적으로 갖추고 있어야 할 인체 기능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에 굴하지 않고 결국 베토벤은 불굴의 의지로 이 작품을 완성했다. 이런 베토벤의 피나는 고통이 내재 돼서인지 이 음악은 후일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진 후 큰 찬사를 받게 된다.


 베토벤이 음악가로서 이와 같은 불행을 겪지 않았다면 이렇듯 불후의 명곡을 완성 시킬 수 있었을까? 누구든 이 질문에 대해 이렇게 대답할지 모른다. 베토벤의 실력과 음악적인 재능으로 봤을 땐 충분히 그렇게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이다.


인류의 위대한 선물 바로크의 명곡(17C~18C중엽 1600년~1750) 약 150년 동안을 바로크시대라고 함.  바로크(Baroque)란 장식적이라는 의미로 이탈리아에서 시작되어 점점 퍼져나간 미술과 건축물등, 유럽의 문화양식 전체를 가리키는 말. 


이런 제목의 음악회가 최근 남양 성모성지에서 열렸다. 이곳은 한 신부님의 삼십 여년에 걸친 대장정을 통하여 조성된(아직도 계속되고 있는) 공간이고 특히 대성당은 프리츠커상 수상자인 마리오 보타의 작품이다. 어떤 공간은 그 쓰임새에 가장 알맞게 기능할 때 그곳이 더 빛난다. 그래서 빛의 건축가, 영혼의 건축가라고 불리는 보타의 작품 안에서 감상하는 바로크 종교음악 이보다 더 어울리는 게 있을까? 게다가 성당 앞 정원은 조경가 정영선의 작품이다. 지금 그의 작업을 다룬 영화가 상영 중에 있으며 특히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조경으로는 최초의 전시가 그의 작품으로 열리고 있다. 이것을 본 사람들은 정원에 대해 생각이 정리되는 것 같다. 세계적 건축가가 설계한 공간, 그곳에 가장 알맞은 음악 그리고 최고의 조경가가 다듬어 놓은 정원이다.


 호주 여행 중 시드니 세인트 메리 대성당의 음악 미사에서 나는 정말 감동을 받았다. 매주 일요일 10시 반에 드리는 음악 미사의 완성도가 너무 높았다. 우리가 상상하는 종교음악의 전형이 그곳에서는 매주일 마다 펼쳐지고 있었던 것이었다. 미안한 이야기지만 국내 어느 성당, 교회에서도 들어보지 못한 사운드였다. 하지만 나는 남양 성모성지에서 올리는 이 음악회를 통하여 그날과 같은 감동을 받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가졌다. 왜냐하면 이날의 연주 단체인 르 보야즈 보칼레 앙상블이 추구 해온 그간의 역사가 그렇다고 말한다.
 
 이들은 부산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연주 단체다. 단원들은 해외유학파와 이제 곧 전문가의 길로 접어들 젊은 성악가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부분 솔리스트로서의 열망이 대단할 텐데 이런 전문 앙상블에서 활동한다는 점이 먼저 눈길을 끌었다. 앙상블을 음악의 중심에 두면 성악가에게는 목숨과 같은 자기 개성이 다소 희생될 가능성이 높은반면 이런 활동이 경제적 문제 해결에 큰 도움이 되지 못할 것이다. 그렇다고 우리 현실에서 앙상블 단원으로 명예를 얻기도 쉽지 않을 것이다. 그러면 무엇이 이들을 이렇게 모았을까? 그것은 음악에 대한 소망 단지 그것 한 가지 아닐까? 지휘자 이성훈과 뜻을 같이하는 젊은 성악가들의 순수한 열정이 아니고는 설명이 되지 않는다.


공연이 끝나고도 나는 그곳을 쉬 떠나지 못했다. 오전부터 성지를 둘러 보았지만 음악이 주는 여운을 즐기며 다시금 구석구석을 천천히 다녔다. 좋은 음악을 더 감동적으로 만들어 주는 아름다운 공간! 또는 그 반대로 해석할 수도 있겠다. 이런 것이 사람들의 마음속에 기적이라는 단어를 심어주는가 보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4-07-12 00:15:41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부산은행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동양야금공업
원음방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