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언론이란 정론을 추구하고 직필이라는 나름대로의 사명을 가지고 있다. 또 언론사별로 전문성과 성향이 각기 다 다르다. 이는 글을 쓰는 기자들에 따라 다른 색깔로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연한 논리인지 모른다.

이에 앞서 부산의 적을 둔 경제전문지 경우에도 부산과 함께 지방경제에 관한 대변지로서 동남권 경제살리기에 일조를 하고 있다면 크게 틀린 말은 아닐 것이다.

부산시청이나 대부분 관공서의 기자실에는 취재편의를 위해 기자들의 취재를 위해 공간을 제공, 기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부산시청은 시청 청사 9층에 ‘중앙(서울지역 일간지) 기자실’과 ‘부산 기자실’을 구분해 별도로 운영하고 있다. 또 울산이나 경남의 지방지 기자들에게는 원래의 기자실이 협소해 9층 브리핑룸을 사용토록 하고 있다.

이밖에 시청 건물 1층 안쪽에서 시의회쪽으로 조금만 가면 기자실이 하나 더 있다. 이 기자실 문에 걸려있는 문패(?)를 보면 어처구니 없는 경우가 이러한 경우를 보고 하는 말이구나 싶다.

이 곳은 분명 부산시청이다. 그런데 어떻게 된 영문인지 입구에는 ‘중앙경제기자실’이라고 이름표가 걸려있다.

원래 어처구니라는 말은 나무로 된 막대기로 맷돌을 돌릴때 쓰는 손잡이를 말한다. 이 손잡이가 부산이 아닌 타지역에 본사를 둔 기자들의 손에다 쥐어준 꼴이다. 부산시민들이 내는 혈세로 운영되는 부산시청에서 주인이 바뀐 꼴이다. 이거야 말로 어처구니가 없는 일이 아니겠는가.

짚고 넘어갈 일이 있다. 경제전문기자들의 취재편의를 위해 자그나마 만들어 놓았다는 이곳 기자실에는 부산이나 동남권의 경제신문사는 아예 없다. 설상가상으로 부산에 본사를 두고 있는 경제기자들은 출입까지 통제한다.

통제 이유도 근거없이 막 들어댄다. 이 기자실은 중앙에 본사를 둔 경제신문사들의 모임체이며, 간사제도로 운영되고 있단다. 굴러온 돌이 박힌 돌을 뺀 꼴이다. 내가 세금을 내고 살고 있는 부산시청 안에서 부산에 본사를 둔 경제언론사 기자는 통제 당하고 중앙지 기자가 떡하니 버티고 있으니 참 황당한 경우다.

이런 경우를 보고 모 기자는 “기자가 취재를 위해 기자실을 이용 못 한다는 게 될 말이냐. 더구나 경제기자가 취재를 하기 위해 시청에서 취재 편의를 제공하고 있는 경제전문지 기자실을 이용 못하다니 말도 안 된다. 더구나 타지방에 있는 기자들은 되고, 부산에 본사를 둔 경제지는 안 된다니 웃기는 일이다. 토 달 것을 달아야지, 같은 기자로서 쓸데없는 행패를 부린다“고 말했다.

아무튼 부산시민의 세금으로 운영하는 부산시청 경제지기자실을 중앙의 출입기자들만이 버티면서 부산에 본사를 두고 있는 경제지 기자의 등록과 출입을 막고 있는 것이 매우 유감스러울 뿐이다.

어려운 난제는 풀어야 한다지만 이런 경우 무식이 우선되어야 하는지 폼잡고 버티고 있는 높으신 분들의 향후 대책을 두고 볼 일이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1-03-23 00:00:00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오늘의 주요뉴스더보기
부산은행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동양야금공업
원음방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