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부산도시공사(사장 김용학)는 국제산업물류지구의 환경영향평가 협의내용인 서낙동강의 녹조발생 저감을 위한 대책으로 AI 수질정화 로봇 2기를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공사는 그간 국제산업물류지구의 환경영향평가 협의내용인 서낙동강 녹조저감방안을 여러 차례에 걸쳐 이행하고자 했으나, 낙동강유역환경청·부산지방국토관리청 등 관계기관의 의견차이 등으로 인해 현재까지 이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AI 수질정화로봇은 조달청 혁신제품으로 수원 광교저수지·대전 갑천·충북 대청호·전남 평림댐 등 다양한 곳에서 활용되고 있다. 자율주행을 통한 실시간 수질측정 및 데이터 수집·관리를 시행함으로써 녹조발생의 사전예측과 4중 필터링 시스템을 통한 물리적인 녹조 제거가 가능하다.


이와 더불어 태양광에너지시스템 도입으로 로봇운영에 필요한 에너지를 태양광을 통해 확보하여 탄소제로도 실천이 가능하다.


공사는 사후환경영향조사 계획에 서낙동강변 수질조사 내용을 추가하여, 운영시 사후환경영향조사 기간 동안 녹조저감 뿐만 아니라 산업단지 운영에 따른 영향 및 수질변화 양상 등을 분석·관리할 계획이다. 이러한 내용을 담은 환경영향평가 협의내용 변경 신청서를 제출하고,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 낙동강환경유역청 등 관계기관과 협의를 통해 환경영향평가 협의내용 이행방안 변경 승인을 득할 예정이다.


부산도시공사 김용학 사장은 “국제산업물류지구 환경영향평가 협의내용 이행을 위해, 4차산업 기술이 접목된 AI 수질정화 로봇의 도입으로 탄소제로 실천과 더불어 서낙동강변의 녹조발생 저감 등 수질 관리가 원활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2-11-09 08:28:09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오늘의 주요뉴스더보기
부산은행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동양야금공업
원음방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