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9일부터 경북안동에서 발생한 구제역이 경기 수도권지역에 이어 강원도에서도 발생함에 따라 전국 확산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부산시는 구제역방역대책본부를 24시간 운영하는 한편, 보유하고 있는 전 소독차량을 동원 매일 농가 소독을 실시하는 등 지역 내 구제역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을 펼치고 있다.
특히 부산시는 우제류 가축사육 밀집지역인 강서구와 기장군에 경북, 경기 등 타 지역에서의 구제역 바이러스 유입차단을 위한 이동통제초소를 22일부터 가동한다.
이동통제초소는 강서구와 기장군의 가축사육 밀집지역 총6개소에 설치 운영된다. 이동통제초소에는 24시간 방역요원이 상주 근무하며 출입차량 소독과 발생지역 가축이동 통제 등 구제역 질병전파요인을 차단활동에 나설 계획이다. 또 향후 부산시는 인근 경남, 울산시 등 인접지역에 구제역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이동통제초소 4개소를 추가 운영할 계획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이동통제초소 운영과는 별도로 축산농가에서는 구제역 등 가축질병 의심가축 발견시에는 신속히 시, 구.군, 축산물위생검사소에 신고토록 하고, 농가 자체소독, 외부인 출입통제 및 근로자 관리와 농가주 본인도 축사 출입시에는 소독을 철저히 해 출입할 것”을 당부했다.
또 시민들도 구제역 발생 국가 여행을 자제해 줄 것과, 이들 국가에 여행한 경우에는 입국 시 반드시 공항과 항만에 있는 국립수의과학검역원에 신고해 소독 절차를 밟고, 5일 이내에는 축사 출입을 금지하도록 당부했다. 아울러 '구제역은 사람에게 감염되지 않기 때문에 우리 축산물을 안심하고 먹어도 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