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고]기업 경영의 세 가지 형태
  • 기사등록 2019-08-06 11:32:11
  • 기사수정 2019-08-06 11:44:24
기사수정

권우상
명리학자. 역사소설가
어느 선비가 깊은 산골을 지나가다가 밤이 깊었다. 인가(人家)도 없는 곳을 헤매다가 집을 한 채 발견하고 찾아가서 하룻밤 자고 가기를 청했다. 과부로 사는 중년 여인이 혼자 있었고, 추운 겨울이라 불을 지핀 방은 하나 뿐이어서 함께 잘 수 밖에 없었다. 이 여인이 방 가운데 줄을 그어 놓고 절대로 선을 넘지 말자는 말을 하기에 잠자는 것만으로도 고마워서 약속을 했다. 잠


을 청하려고 하는데, 건너편에서 자는 여인이 허연 속살을 거의 내비치는 얇은 옷을 입고 두 다리를 묘하게 움직이며 뒤척이더란다. 그러나 이 선비는 장부일언 중천금이라는 약속을 지키기 위해서 꼼짝 않고 하룻밤을 지샜다. 다음날 아침 고맙다는 이 선비가 인사를 하면서 떠나려는데 그 여인이 하는 말이 “이 양반아 주는 떡도 못먹소” 하더란다. 관상(觀相)에서 빈상(貧相 : 가난한 상)이 있는데 부자(富者)이면서 가난한 상이 있는가 하면 가난한 상이면서도 부자상이 있다. 


즉 재산은 별로 없는데 좋은 음식에다 옷 잘 입고 돈 쓰는 데도 잘 쓰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재산은 별로 없는데 자기가 먹는 것에도 아까워 벌벌 떠는 사람이 있다. 옛날 삼성그룹의 창업자 고(故) 이병철 회장이 기피하는 인사원칙이 있다고 한다. 그것은 대머리, 키가 큰 사람, 뚱뚱한 사람으로서 그 이유는 대머리는 자기의 속마음을 잘 나타내지 않고, 키가 큰 사람은 책임없는 말을 잘 해 싱겁고, 뚱뚱한 사람은 액션(동작)이 느리고 게으르다는 일반적인 속성이다. 


이런 간단한 분류는 회사경영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또 이병철의 경영철학 가운데 에피소드가 하나 있다. 직원이 출장을 갈 때는 출장비를 현금으로 주지 않고 반드시 공수표(금액이 기재되지 않는 백지수표) 한 권을 준다고 한다. 출장비를 쓰고 싶은 데로 쓰고 오라는 뜻이란다. 하지만 적은 금액은 수표에 적어 사용하기가 미안해서 자기 돈으로 사용하여 공수표는 그대로 가지고 오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돈을 벌기 위해 이런 방법을 구사했다는 것이 어찌보면 치사하지만 한편으로는 놀랍기도 하다. 필자의 경험에 의하면 기업을 경영하는 사장의 스타일에는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 째는 최대한 인건비를 적게 주고 돈을 벌려고 하는 이른바 인건비 절약형인데 나쁘게 말하면 인건비 착취형이다. 이 착취형을 구사하던 K그룹은 전두환 정권 때 공중 분해되고 말았으니 요즘 같은 최저 임금이 법으로 정해진 고임금시대에는 인건비 착취형으로 경영하는 기업은 발붙일 곳이 없을 것이다. 둘 째는 직원의 봉급은 타기업에 비해 넉넉하게 주고 새로운 기술과 독창적인 아이디어로 돈을 벌려고 하는 두뇌형인데 이런 기업은 성공한다. 셋 째는 절약형과 두뇌형 두 가지를 동시에 구사하는 절두형이다. 어느 형이 기업이 발전하는데 도움이 되는지 여러분들이 판단하기를 바란다. 


남자의 명운 / 년주 = 戊辰 월주 = 庚申 일주 =庚寅 시주 = 甲申 / 대운 辛酉 壬戌 癸亥 甲子 乙丑 丙寅 丁卯 = 일간(日干) 경금(庚金)이 신월(申月 : 7월)에 태어나 월지(月支)에 뿌리가 있고 천간(天干)에 경금(庚金)과 무토(戊土)가 있으며 연지(年支)에 진토(辰土)가 있고 시지(時支)에 신금(申金)이 있으니 비겁(比怯)과 인성(印星)이 많아 사주가 신강하다. 신강이면 재성(財星)이나 관성(官星)으로 용신(用神)을 잡아야 하는데 관성 화(火)는 없고 목(木), 즉 시간(時干)의 갑목(甲木)이 일지(日支)의 인목(寅木)에 유근(有根)하여 재성(財星)이 용신(用神)이 된다. 화운(火運)도 성기(成器)이므로 이 운도 나쁘지 않다. 또한 시지(時支), 월지(月支)에 있는 두 신금(申金)이 일지(日支)의 인목(寅木)을 치고 있어 병(病)이 되는데 신진(申辰)은 합수(合水)가 되어 인목(寅木)을 수생목(水生木)하여 주고 있어 흉운(凶運)이 변하여 길운(吉運)이 되었다. 26살 계해(癸亥) 대운 이전까지는 고생을 했지만 27살부터는 길운이라 결혼도 하고 가세가 나아져 37살 갑자(甲子) 대운부터는 용신(用神)의 해가 되어 발복하여 많은 돈을 벌었다. 사주불여대운(四柱不如大運)이란 말이 있다. 사주보다 대운이 좋아야 한다는 말이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9-08-06 11:32:11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오늘의 주요뉴스더보기
부산은행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동양야금공업
원음방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