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최근 경기불황으로 인해 직장여성 열 명 중 네 명은 임신, 출산 등 자녀계획을 미루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포털 커리어(www.career.co.kr)가 향후 3년 이내 출산계획이 있는 기혼 여성 직장인 572명을 대상으로 3월 16일부터 20일까지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41.8%가 최근 불경기로 임신을 미뤘거나 미룰 예정이라고 답했다.

그 이유로는 49.0%가 ‘불경기에 경제적 부담이 너무 커서’라고 답했으며, ‘인사상 불이익을 당할 것 같아서’라는 대답도 38.9%나 됐다. ‘업무량이 너무 많아 건강에 좋지 않을 것 같아서’(4.1%), ‘배우자가 최근 실직을 해서’(2.1%) 등도 있었다.

언제까지 임신을 미룰 예정인가에 대해서는 37.7%가 ‘아직은 잘 모르겠다’고 답했고, ‘향후 1년 정도’가 25.5%로 뒤를 이었다. 다음으로 ‘향후 3년 이후’(13.0%), ‘향후 2년 정도’(10.5%), ‘향후 6개월 정도’(4.2%), ‘향후 1년6개월 정도’(3.8%), ‘향후 3개월 정도’(3.2%), ‘향후 2년6개월 정도’(2.1%) 순이었다.

실제로 이들 중 60.7%는 주변에서 임신, 출산, 육아 등의 문제로 인사상 불이익을 당하는 모습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불이익의 유형(복수응답)으로는 ‘자발적 퇴사유도(연봉삭감·무관부서로 발령)’가 53.8%로 가장 많았고, ‘권고사직’(30.3%)이나 ‘낮은 인사고과 부여’(20.0%)도 있었다. 심지어는 ‘해당직무를 소멸’(9.7%)했다는 답변도 있었다.

한편, 여직원의 임신·출산·육아를 위해 회사가 현재 마련하고 있는 제도(복수응답)에 대해서는 ‘아무런 제도·시설도 운영하지 않는다’는 대답이 43.0%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유아교육비 지원’(19.2%), ‘분만비 지원’(13.3%), ‘직장 보육시설 운영’(10.3%)이 뒤를 이었고, 이외에도 출산 후 일정기간 동안 출퇴근 시간 조정이 가능한 ‘플렉시블 근무제 운영’(7.2%), ‘분유비 지원’(5.9%), ‘수유시설 및 모유착유시간 보장’(3.3%), ‘임신 여직원 대상 산전교육’(2.6%) 등이 있었다.

이들 제도에 대한 여성 직장인의 만족도(5점 척도)는 2.0점으로 집계됐다. 세부적으로는 ‘매우 불만족(1점)’ 44.7%, ‘보통(3점)’ 32.3%, ‘약간 불만족(2점)’ 16.6%, ‘매우 만족(5점)’ 3.8%, ‘약간 만족(4점)’ 2.6% 순을 보였다.

커리어 김기태 대표는 “최근 들어 양육비 부담 등 경제적인 이유로 임신을 미루는 직장인들이 늘고 있다”며 “유능한 여성인재들이 직장과 가정생활을 병행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임신, 출산, 육아 등을 장려하는 회사차원의 배려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09-03-24 00:00:00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오늘의 주요뉴스더보기
부산은행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동양야금공업
원음방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