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경기 전망과 더불어 정부는 발틱운임지수(BDI)에 주목하라.
BDI지수는 원자재나 상품을 실어 나르는 양을 측정해 통화와 생산을 예측하는 지표로 사용되는데 BDI지수가 오르면 경제성장으로 보고 낮으면 경제 하락으로 본다.
‘발틱운임지수(Baltic Dry Index·BDI)’란 세계 26개 항로의 벌크화물운임과 용선료 등을 종합한 종합운임지수로써 전 세계 교역량을 평가해 경제에 활용하고 있다. 원래는 발틱해운거래소에서 건화물시황 운임지수로 사용해 온 ‘Baltic Freight Index(BFI)’를 1999년 11월부터 이를 대체해 선물시장(Future Market)에서 사용하고 있다.
즉, 배의 형태와 톤수, 각 항로별 마일 비중에 따라 대표항로를 선정하고 가중치를 적용해 1985년 1월 4일 기준지수 1,000으로 정해 사용하고 있으며, BDI는 전반적인 해운업계의 운임료 현황을 나타내는 세계교역 물동량의 바로메터로 해운업계의 종합주가지수와 같은 개념이다.
따라서 원자재나 상품을 실어 나르는 양이 많아지면 자연스레 BDI지수가 오르게 되고 반면, 교역량이 줄어들면 이 지수가 떨어지게 된다. 세계경제의 수요급감으로 인해 BDI지수가 하락해 미국, 중국 등 수출이 줄어들어 그만큼 우리경제가 어렵게 진행되고 있다.
작년 5월 한 때 우리나라는 발틱운임지수가 11,000선까지 치솟기도 했으나 12월 680선까지 폭락하는 등 오락가락해 2009년 2월 고작 2,000선에서 밑돌고 있으며, 여전히 경기가 하락국면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각국은 해운시장의 수급을 중시해 규제와 선종별 운항제한 및 선령을 줄이고 선박 해체량을 늘리고 있어 조선산업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선박 해체량이 급증하면 선박 후판 가격이 안정돼 해운시장 수급이 안정될 것이라는 기대는 물론 시세 차익을 노린 투기적인 수요도 유입되면서 BDI는 단기적으로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2월6일 BDI는 53.5% 상승한 1,642p를 기록해 주간단위 사상 최대 상승률을 보여 전체 벌크 해운시장의 수급이 호전되고 있는 듯 나타나고 있으나 중장기 상승추세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고 세계경기 회복에는 아직 선박공급과잉이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