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직장인 24.9%, ‘고속승진 거절하겠다’ - 빠른만큼 조기퇴직,명예퇴직 걱정 앞서 -
  • 기사등록 2009-02-05 00:00:00
기사수정
직장인 4명 중 1명은 조기 퇴직 등의 이유로 고속승진에 대해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커리어(www.career.co.kr)가 1월 31일부터 2월 3일까지 직장인 1,440명을 대상으로 ‘고속승진의 기회가 온다면 어떻게 하겠는가’를 조사한 결과, 24.9%가 ‘거절하겠다’고 응답했다. 기업형태별로는 공기업 종사자가 34.0%로 가장 많았으며, 성별로는 여성(32.4%)이 남성(22.0%)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받아들이겠다’는 65.8%, ‘우선은 미루고 생각해보겠다’는 9.3%로 조사됐다.

고속승진을 거절하려는 이유(복수응답)로는 39.8%가 ‘승진이 빠른 만큼 조기퇴직·명예퇴직 등이 앞당겨질까봐’를 꼽았다. ‘직책에 대한 부담과 책임감이 너무 커서’는 31.2%, ‘직장선배나 동료들간의 관계가 껄끄러워져서’ 21.4%, ‘다음 승진에 대한 부담이 클 것 같아서’는 7.8% 순으로 응답했다.

‘고속승진과 연차승진 중 어느 쪽을 선택하겠는가’란 질문에는 ‘고속승진’과 ‘연차승진’이 각각 51.2%, 48.8%로 의견이 엇갈렸다.

한편, 전체 응답자를 대상으로 ‘불황 전후 고용불안감’을 비교해본 결과, ‘불황 전에는 고용불안감을 느끼지 않았으나 현재는 느낀다’가 42.6%로 가장 많았다. 이는 성별과 기업형태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여성(47.5%)이 남성(40.7%)보다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외국계기업이 46.2%로 가장 많이 차지했다.

다음으로 ‘불황 전에도 고용 불안감을 느꼈으며 현재도 느낀다’는 39.2%, ‘불황 전과 현재 모두 고용 불안감을 느끼지 않는다’ 15.1%, ‘불황 전에는 고용 불안감을 느꼈으나 현재는 느끼지 않는다’ 3.1% 순으로 나타났다.

희망 근속년수는 ‘10년 이상’과 ‘20년 이상’이 각각 20.8%, 20.4%로 가장 많았고 ‘30년 이상’은 15.3%, ‘5년 이상’은 13.3% 로 답했으며 ‘15년 이상’은 11.8%, ‘25년 이상’ 11.0%, ‘35년 이상’은 7.3% 로 조사됐다.

‘자신이 직장에서 최소 어느 위치까지 갈 수 있을 것으로 보는가’란 질문에는 ‘부장급 이상’이 26.7%로 1위를 차지했고 ‘차장급 이상’은 21.5%, ‘과장급 이상’ 16.4%, ‘대리급 이상’ 11.2% 이었다. 이어 ‘임원급 이상’ 10.6%, ‘CEO급 이상’ 7.7% 로 답했다.

커리어 김기태 대표는 “경기불황으로 인해 직급이 높아질수록 구조조정이나 연봉동결의 대상이 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고속승진을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직장인이 적지 않다”며 “오랫동안 직장생활을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러한 생각은 소극적인 직장생활을 초래할 수도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09-02-05 00:00:00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오늘의 주요뉴스더보기
부산은행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동양야금공업
원음방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