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5월 31일 기준 농업가뭄지역과 6개 보 위치.(제공:국토교통부)

정부가 1일 오후 2시부터 낙동강의 강정고령보, 달성보, 합천창녕보, 창녕함안보, 금강의 공주보, 영산강의 죽산보 등 총 6개보를 상시 개방한다. 4대강 보가 심각한 녹조발생 등 수질오염의 원인으로 지적됨에 따라 정부는 농업용수 이용과 관계가 없는 6개보를 우선적으로 개방한다.

정부는 보 개방을 앞두고 지난달 31일까지 개방대상 6개보에 대한 개방수위를 결정하기 위해 수차례 현장조사와 지방자치단체, 지역주민들의 의견수렴을 거쳤다.

그 결과 개방수위는 낙동강 강정고령보 1.25m, 달성보 0.5m, 합천창녕보 1m, 창녕함안보 0.2m 수준으로, 금강 공주보는 0.2m, 영산강 죽산보는 1m 낮추는 것으로 최종 확정됐다.

정부는 6개보의 개방에도 불구하고 농업용 양수장 60개소(붙임 1 참조) 모두 상시개방 수위에서 농업용수를 공급하는데 차질이 없는 것으로 확인했다. 선박계류장 등 수변시설 이용에도 영향이 없음을 재차 확인했다.

보의 수위를 가장 많이 내리는 강정고령보는 1일 오후 2시부터 4일까지 점진적(2~3cm/hr 수준)으로 내리고, 수위를 가장 적게 내리는 창녕함안보·공주보는 수위를 약 10시간에 걸쳐 내릴 예정이다.

정부는 보의 수위가 계획한 수준까지 낮아지는 4일까지 지방자치단체 등 관계기관과 협력해 하천에서 선박 운항과 친수활동에 대한 사전 경고조치와 현장 순찰 등을 강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보 개방의 효과를 제고하기 위해 금번 보 개방 후 모니터링 결과를 종합 분석해 농업용수 사용이 끝나는 시기 이후에는 보의 수위를 더 내리는 방안도 검토해 시행할 계획이다.

정부는 가뭄과 보 개방의 연관성이 없음을 거듭 강조했다. 현재 농업가뭄이 심한 지역은 주로 경기 남부와 충남 서북부 지역으로 이번에 개방하는 6개 보와는 상당히 거리가 떨어져 있어 집수유역이 다르다는 게 정부측의 설명이다.

이번 개방시 수위를 많이 내리지 못하는 이유는 양수장 취수구의 위치 문제 때문이다. 실제로 보들이 위치한 강의 본류에 물을 내려 보내는 상류의 다목적 댐 저수율은 예년대비 104%로 양호한 상황이다.

또한 공주보 개방으로 공주보 하류~백제보 사이 구간에 농업용수 공급 차질이 우려된다는 지적도 있으나, 백제보는 개방을 하지 않고 기존 수위를 유지하기 때문에 이 구간에도 농업용수 공급에는 지장이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는 상시개방을 하는 동안 수자원 이용실태, 수질, 수생태계 등 분야별로 모니터링을 철저히 시행하고, 현장 주민들과 지자체의 의견을 지속적으로 수렴해, 보 개방으로 인한 문제가 없도록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7-06-01 13:27:47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오늘의 주요뉴스더보기
부산은행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동양야금공업
원음방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