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공항입지 선호도에 대한 조종사 설문조사 결과 발표 - 항공사 조종사의 선택, 가덕 94.9%, 밀양 5.1%
  • 기사등록 2016-06-13 13:58:10
기사수정


공항은 접근성보다 국민의 안전이 먼저다.

㈜포커스컴퍼니(대표이사 최정숙)은 부산발전시민재단의 의뢰를 받아 실시한 ‘공항입지에 대한 조종사 인식조사’ 결과에서 항공사 조종사들은 동남권 신공항 입지로 해안입지인 가덕후보지를 94.9%를 선호한다는 결과를 발표하였다.

 

2016년 5월 25일부터 5월 29일까지 5일간, 실제 김해국제공항에 취항하는 항공사 조종사를 대상으로 김해공항안전성 평가, 김해공항의 위협요소, 신공항입지 결정요인, 신공항의 최적후보지 등을 조사하였다.

 

설문지 500부를 배포하여 응답자 341명의 설문을 분석하였으며, 조사대상자는 국적항공사 282명(82.7%), 외국계항공사 59명(17.3%)가 응답하였으며, 고른 연령대와 비행시간을 가진 조종사들이 응답하였다


설문조사의 주요항목은 김해공항의 안전성에 대한 평가, 김해공항의 안전위협 요인, 신공항 입지 결정시 주된 고려사항, 해안입지인 가덕도와 내륙입지인 밀양에 대한 선호도로 구성하였다.

 

첫 번째, 타 공항과 비교해서 김해공항의 안전성 평가는 위험(72.7%), 보통(17.3%) 양호(10%)의 결과가 나와, 김해공항이 위험하다는 인식이 매우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김해공항의 안전위협 요인으로 김해공항 북측 장애물(동대산, 신어산 등)이 80.8%, 안개, 풍향 등 기상상황이 9.4%, 군용항공기가 3.2%, 항행안전시설 부족이 5.6%, 기타0.9%가 나와, 2002년 중국 민항기 돗대산 추돌사고의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보이며, 비행경험이 많은 기장급(85.3%)조종사가 부기장급(78.7%)보다 공항 인근 장애물의 위험 인식이 더 높았다.     

 

세 번째, 신공항의 입지 결정시 주요 고려사항으로 안전성(75.5%), 24시간 운영가능성(14.7%), 접근성(5.0%), 기상영향(3.8%)으로 나왔으며, 안전성이라는 응답은 외국항공 조종사(89.8%), 60대 이상(100%), 5,000시간 이상의 기장급 비행 경력자(82.9%)에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해안입지인 가덕도와 내륙입지인 밀양에 대한 최적입지 의견은 334명이 응답하여 317명(94.9%)이 가덕을, 17명(5.1%)이 밀양을 선택하여 압도적인 가덕후보지 선호를 나타냈다. 

 

이는 공항의 주된 이용자이자 항공전문가인 조종사들이 비행안전성을 가장 중요요인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공항은 기본적으로 안전하고 24시간 자유롭게 이착륙이 가능한 공항을 선호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외국계 항공사 조종사(100%), 60대 이상(100%), 비행경력 3000시간 이상(98.7%)에서 더 높았으며, 지역적 안배나 정치적 고려에서 자유로운 일부 외국인 조종사 응답자는 개인적인 의견임을 전제로 밀양후보지가 "안좋은 선택(Bad Choice)"이라고 기재하는 등 산악지형으로 둘러싸인 공항입지에 대해서 부정적 인식이 강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부산발전시민재단과 ㈜포커스컴퍼니는 ‘공항을 제일 많이 이용하고 잘 아는 조종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공항주변 장애물(산악)이 비행안전에 가장 큰 위협이 되고 있으며, 특히 악천후 등 시계가 확보되지 않는 기상상황에서 공항 인근 장애물이 조종사들에게 큰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고 밝혔다.

또한 ‘가덕입지와 밀양입지를 두고 첨예하게 지역갈등으로 치닫고 있는 상황에서, 어떠한 정치적 고려가 없는 외국 항공사 조종사들이 100% 해안입지인 가덕후보지를 선택하였다는 점은 신공항용역을 담당하고 있는 국토교통부나 용역기관에서 눈여겨볼만한 점이라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 공항은 접근성보다 국민의 안전이 먼저다!

@산악장애물로 인한 항공기사고
1997년 8월 6일, 대한항공 비행기의 괌 아가나 국제공항 인근 니미츠언덕(201m) 추락사고로 229명 사망, 부상 25명, 1993년 7월 26일 아시아나항공기의 목포공항 인근 운거산(324m) 추락사고로 68명 사망, 38명 부상, 그리고 360만 부산사람들에게 커다란 상처로 남아 있는 2002년 4월 15일 중국민항기 돗대산(204m) 추락사고 129명 사망, 37명 부상이 있다. 산악장애물이 없었다면 좋지 않은 기상조건이나 착륙조건에서도 비상착륙을 시도하여 더 많은 생명을 살릴 수 있었을 것이다.

 

항공기 사고의 70~80%는 비행가 이*착륙시간인 ‘마의 11분’에 발생한다. 기상이 악화되어 시계가 불안전할 경우 이용되는 항공기 계기착륙시스템(ILS)은 직진성 전파를 사용하기 때문에 산악장애물이 있을 경우 전파가 산란되어 시스템이 오작동할 우려가 있어 조종사가 수동으로 직접 조종하여야 한다. 항공조종사들이 산악장애물이 있는 공항을 기피하는 이유이다.

 

@항공조종사도 해안입지를 절대적 지지
(사)부산발전시민재단이 주관하고, ㈜포커스컴퍼니가 김해공항 취항 25개 국내외 항공사 조종사 390여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말에 설문한 결과에서도 조종사들은 ‘해안입지’ ‘안전성’ 최우선으로 꼽았으며, 김해공항은 북측 산악장애물로 인하여 ‘위험’하다고 인식하였다.

 

김해공항의 안전성 평가에서 위험하다는 인식은 72.7%, 안전위협 요인으로는 김해공항 북측 장애물이 80.8% 지적받아 2002년 중국 민항기사고가 깊이 인식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공항 입지 결정시 주요 고려사항으로 안전성이 75.5%로 높은 반면, 접근성은 상대적으로 낮은 5.0%가 나왔으며, 최적입지로는 334명이 응잡하여 317명(94.9%)은 해안입지인 가덕도를, 17명(5.1%)은 내륙입지인 밀양입지를 선택하였다. 특히 국내 정치적 상황으로부터 자유로운 외국인 조종사들은 밀양 내륙입지를 ‘Bad Choice’라고 하여, 내륙공항과 해안공항의 특성을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다.

 

@공항은 접근성보다 국민의 안전이 먼저다!
최근 대구는 ‘항공학적 검토’ 통하여 2011년도 국토교통부 평가시에 안전에 문제가 되었던 27개의 산봉우리 중에서 4개만 절취하면 항공안전에 문제가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밀양입지의 김해쪽의 나전리 뒷산(205m), 안곡리 뒷산(412m, 395m), 석용산(370m), 신어산(403m), 봉화산(141m) 등 총 19개소, 경남 창녕쪽의 덕암산(470m), 강태봉(455m), 월봉산(445m), 비룡산(380m) 등 7개의 봉우리, 밀양쪽의 백산(108m) 1개소 등 총27개의 움직일 수 없는 산악 고정장애물이 있다. 김해공항 북측 돗대산(204m)보다 높은 곳이 대부분으로 항공안전에 더 치명적이다.

 

교통인프라시설은 100km까지는 도로를 이용한 차량, 100~300km까지는 차량과 철도, 300~500km까지는 철도와 항공, 500km이상은 공항을 이용한 항공기 이동이 최적의 교통수단이다. 공항시설은 이용객들이 500km이상 이동하기 위하여 항공기가 안전하게 이륙하고 착륙하기 위한 입지에 건설되어야 한다. 공항까지 접근하기 교통시설은 도로와 철도로써 개선이 가능하다.  

 

해외로 나갈 때 출발 2~3시간 전에 공항에 도착하여 출국수속을 받는 점을 감안하면, 공항까지의 이동시간 10~20분 차이는 얼마든지 개선이 가능하다. 공항은 접근성보다는 국민의 안전이 먼저다. 외국인 조종사가 말하는 ‘Bad Choice’보다는 안전을 생각하는 ‘Good Choice’ 선택이기 이전에 불변의 원칙이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6-06-13 13:58:10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오늘의 주요뉴스더보기
부산은행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동양야금공업
원음방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