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부산시, 사람이 중심 되는 서부산권 낙동강유역 '인문문화자산 발굴'에 힘쏟아.... - 북구, 사하구, 강서구, 사상구를 포함하는 서부산 권역의 사진·서적 등 문헌조사, 문화재·민속 등 현장조사, 스토리·기억 . 구술조사 등으로 진행
  • 기사등록 2016-04-12 13:07:36
기사수정

 

부산시는 부산발전연구원에 ‘서부산의 인문?문화자산 발굴에 관한 연구’를 의뢰해 낙동강 유역의 역사·문화적 자원을 발굴한다고 밝혔다.

 

낙동강 유역의 인문학적 가치 발굴을 위해 서부산권 개발 사업이 본격화되기 이전에 △낙동강 유역의 서민의 삶과 흔적, 역사?문화적 기록 등 현재, 미래의 연결성을 찾고 △도시가 기억하는 다양한 레이어(Layer)를 모아 스토리텔링해 문화?관광 산업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북구, 사하구, 강서구, 사상구를 포함하는 서부산 권역의 사진·서적 등 문헌, 문화재·민속 등의 현장조사, 스토리·기억, 구술조사 등으로 통합적 인문 문화 연계방안을 모색해 △문화재(지정문화재) △근대건조물(역사적 건축물, 전통가옥) △역사자산(염전, 포구, 고기잡이 등) △보호수(나무) △전통민속(동제, 당제, 후릿소리) △생활유산(서민전통, 독특한 의례) △기억자산(가문, 독립운동, 문학가, 실업가의 인물, 감동스토리) △산업유산(공장, 음식점 등)을 발굴해 수집 정리해 콘텐츠개발과 문화관광으로 활용한다.

 

낙동강의 변천사를 짚어보면,1910년 이전에는 낙동강 하구권 자연생태계의 자연 활동기였고, 1930년대에 대동수문, 녹산수문, 일천식 제방과 서낙동강의 동낙동강 본류이동 등 생태계의 첫 변고가 있었으며 일제강점기를 겪어오면서 1960년대에 서낙동강 권역에 조성된 김해평야에 새로운 치수사업요구가 생겨났다.

 

이어 1970년부터 1990년대까지 엄궁, 하단, 신평 일원(1983), 녹산간척지(1984), 진해용원지구(1985) 사하구 공유수면(1987), 장림 다대지구(1988), 신호동 일원(1989), 명지지구, 녹산지구(1992) 등의 문화재 지정구역이 해제되면서 낙동강 하구 기수지 생태계의 큰 변화가 일게 되었다.

 

2000년대 이후 낙동강 특별법제정(2002), 을숙도철새공원조성사업(2005), 낙동강 둔치정비사업(2002-2010) 생태계 복원 및 보전관리 등 ‘위대한 낙동강 시대’의 비전과 공생·공존의 가치를 실현하는 부산의 역사 인식의 새로운 출발점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낙동강을 배경으로 살아 온 사람들의 시공간적 삶의 궤적을 기억하고 그들이 기록한 역사, 문학, 장소, 이야기 등으로 현재를 조망하고 미래를 확장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일”이라며, “에코델타시티, 명지국제신도시, 사상스마트시티 등 대규모 개발사업 이전에 인문문화자산을 사전 발굴해 사업의 진행과정에 인문 문화자산을 활용한 진정성 있는 재생형 개발의 방향을 정립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6-04-12 13:07:36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오늘의 주요뉴스더보기
부산은행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동양야금공업
원음방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