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여객선 진도 침몰 참사 이후 사고 조사 과정에서 재난대응 기관 간 의사소통에 문제가 있었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11년째 도입이 미뤄진 재난안전통신망 구축을 추진해야 한다는 여론이 물살을 타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도 세월호 사고와 관련해 대국민 담화에서 조속한 시일 안에 재난안전통신망 도입을 추진할 것이라고 언급했고, 안전행정부 등은 그 후속조치로 올해부터 2017년까지 재난안전통신 전국망 구축을 완료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10년이라는 긴 세월동안 지지부진했던 사업이 갑자기 대통령의 한 마디에 탄력을 받게 됐다. 아무튼 재난안전통신망 도입에 발걸음을 바쁘게 움직이는 것만으로도 그나마 다행한 일이라고 할까.

만약에 세월호 사고 당시 우리에게도 완벽한 재난안전통신망이 구축됐다고 하면 지금처럼 땅을 치며 아쉬워하는 피해를 다소나마 줄일 수 있었을까. 뒤늦게라도 정부의 재난안전통신망 구축 계획이 차질없이 진행되길 기대해 본다.

재난안전통신망이란 경찰, 소방본부 등 재난 관련 기관들의 무선 교신 방식과 망을 일원화하는 것을 말한다. 세월호 사고와 같은 대형 재난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통상적으로 경찰, 소방본부, 해경, 군 등이 한꺼번에 투입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 과정에서 각 기관 간 원활한 의사소통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실제로 의사소통이 매끄럽지 못해 피해를 키우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이다.

컨트롤 타워 역시 상황의 변화를 즉시 파악해야 하고, 재난 수습에 참여한 현장 인원들에게 신속한 지시를 일제히 하달해야 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특히 이번 세월호 사고에서 골든타임(사고 발생 직후 인명을 구조하거나 사고 확대를 막을 수 있는 짧은 시간대)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강력한 의사소통 수단이 요구되고 있는 게 사실이다. 재난안전통신망은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는 현실적인 대안으로 평가받고 있다.

우리나라는 각 기관마다 제각각 다른 방식의 무선 교신을 하고 있는게 현실이다. 이렇다 보니 기관 간 의사소통은 현실적으로 매끄럽지가 못하다. 특히 이러한 다중 무선 교신 방식은 평상시에는 문제점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 그러나 시간이 촉박한 사고가 발생할 시에는 이러한 다중 교신 방식이 커다란 재난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이번 세월호 사고에서 문제가 됐던 해경은 두 가지 방식을 병행하고 있다. 선박과의 무선통신은 VHF 방식을, 지역 간 무선 교신은 KT파워텔의 사용망(아이덴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이 세월호 사고 같은 대형 참사가 났을 경우에는 한계점이 분명히 드러난다. 가장 단적인 예로 안행부 중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사고 초기 사고 현황 파악 면에서 무력한 모습을 보여줬다.

또 구조 작업 과정에서도 미비점을 드러냈다. 재난안전통신망이 없었기 때문에 이런 일이 벌어졌다고는 말할 순 없지만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던 것은 분명하다. 더욱이 사고 신고 접수 이후 구조 작업까지의 과정에서도 만일 재난안전통신망이 있었다면 과연 어떤 결과를 가져 왔을까. 아마 구조작업에 큰 도움이 됐으리라는 지적에는 감히 토를 달지 못할 것이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4-06-10 00:00:00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오늘의 주요뉴스더보기
부산은행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동양야금공업
원음방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