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명이라는 인간의 편의사상은 자연환경을 빠르게 황폐화 시켜 왔다. 사람의 이익과 편리만을 위해 사람의 잣대로 자연 환경을 이용해왔기 때문이다. 더욱 안타까운것은 인간 스스로 인간이 저지르고 있는 문제를 알고 있으면서도 인간스스로 자연환경을 파괴하는 문제가 이시간에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본란은 수차례에 걸쳐 이명박 정부의 운하사업은 국민여론에 따라 실행가부를 결정해야 한다고 지적한바 있다. 그러나 정부 여당은 운하라는 명칭을 바꿔서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뱃길 살리기” “물길잇기” 등으로 바꾸라는 제안이다.
같은 맥락에서 강만수 기획 재정부장관도 영국에서는 운하(canal)가 아니고 수로(water way)라고 표기 한다면서 먼저 4대강 바닥을 준설해 선박통행이 가능하도록 해야한다고 했다. 대운하 사업을 “뱃길 살리기” “물길 잇기” 등 조어로서 사업명칭을 바꾼다고 해서 국민이 납득할것인가 새겨 볼일이다.
65%이상의 국민이 반대하는것은 물론이고 지난달에는 전국대학교수 3천여명이 운하 사업의 비합리적이고 비효율적인 부당성을 지적하고 반대의사를 밝힌바 있다. 불교계는 물론 기독교 개신교에서도 반대여론이 지배적이다. 몇일전에는 전국 시인 203명이 대운하 건설 계획에 반대하는 뜻을 담은 공동시집 “그냥 놔두라 쓰라린 백년 소원 이것이다” 를 펴냈다.
이수연의 시조 “물이 아니라 피가 흐르는데”의 종장이 지적 했듯이 “멀쩡한 등뼈마다 발라내고 깍아내서 무턱대고 물길내면 타죽을 생명 생명 젠장할 ! 물전쟁 피투쟁 관(棺) 이라도 메야 할터” 강물은 바로 우리들의 젖줄이고 피인것이다.
자연재해는 결국 문명이라는 인간의 행위에 환경을 파괴하는데 따른 자연의 선택되지않은 반응이라는 옛 선현들의 분석에 귀를 귀울려야 한다. 자연재해가 더욱 무서워지는것은 인간편의를 위한 개발이라는 문명의 업보인 것이다.
청와대도 국민적 반감을 무릅쓰고 임기내에 일방적으로 추진하지는 않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물길정비”를 내 세우고 임기에 연연하지 않겠다는 청와대의 얘기는 사실상 운하강행에서 사업 철회를 하기위한 수순 밟기가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운하이든” “물길 잇기”든 단계마다 여론이 부정적이면 “사업은 중단되고 치수나 환경 정비 사업으로 그칠수 있다. 정부 당국의 현명한 판단이 국민의 마음을 이을수도 있다는 얘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