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무절제한 보험자(保險者) 흉내 내기는 국민부담 가중
  • 기사등록 2013-08-01 00:00:00
기사수정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의 보험자 흉내 내기가 도를 넘고 있다는 여론이 일고 있다. 대표적 사례로 빅데이터 활용 질병예보 서비스와 건강보험 국제연수과정 프로그램 따라 하기 등을 들 수 있다는 지적이다. 빅데이터 활용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의 오랜 준비의 결과물이며, 국제연수 프로그램은 2004년부터 건보공단의 지속적인 정기 사업이다.

질과 양적인 면에서 건보공단과 현격한 차이가 있음에도 심평원의 보험자 따라 하기가 이중 중복투자의 예산낭비로 지적되어 건보공단까지 비난에 휘몰리고 있다. 다시 말해 심평원의 이러한 행태는 예산낭비는 물론, 보험자의 고유사업까지 발목을 잡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심평원이 보험자 따라 하기에 사용하는 비용은 건보공단이 민원인들에게 온갖 원성을 들어가며, 하루 종일 입에 단내가 나도록 보험료 불만민원들을 설득하며 거둔 피 같은 돈이다. 이 돈을 공단은 ‘심사평가원부담금’이란 명목으로 지급하고 있다는 얘기다..

이 부담금은 2001년 822억원에서 2012년 1,892억원으로 증가했으며, 2013년에는 심평원의 사옥 부지매입과 신축비용까지 보태어 2,274억원이나 됐다. 뿐만 아니라 건강보험통합 전에 건당 요양급여비 심사수수료로 지급했던 비용은 통합 후 부담금으로 둔갑했다. 건보공단은 부담금지급 기관이지만 그 결정과 지급에 대한 자체 규정도, 감시기능도 전무하다.

건보공단이 심평원에 지급하는 부담금은 기관에서 기관으로 이전되는 단순한 예산이 아니라, 국민건강보험법에 명시된 보험자로서 가입자의 대리인인 건보공단에 맡겨진 보험재정이다. 때문에 건보공단은 가입자를 대리하여 심사평가원에 대한 부담금 결정 등 사업심사 권한을 가져야 한다. 더불어 심평원이 올해 7월부터 자동차보험 진료비심사업무까지 수행함으로서 건보공단이 일괄 부담하는 심사수수료 지급방식을 심사 건당 지급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보험재정에 대한 책임의식 없는 보험자 흉내 내기와 본연의 업무 충실은 양립할 수 없다. 예산과 재정에 대해 모든 책임과 비난은 항상 건보공단의 몫이었다. 심평원이 이에 대해 일말의 책임감이라도 느낀다면 자중해야 한다. 작금의 심평원의 행태가 예산낭비이자 직무유기라는 국민의 쓴소리를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3-08-01 00:00:00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오늘의 주요뉴스더보기
부산은행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동양야금공업
원음방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