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경상남도가 결국 진주의료원을 폐업했다. 경남도민을 비롯한 야당과 시민사회단체 등이 폐업이라는 최악의 선택은 말아달라고 목소리를 높였지만 끝내 진주의료원은 문을 닫았다..

사실 진주의료원 폐업은 이미 기정사실화 되어 있었다. 지난달 12일 이사회를 소집 때 폐업을 결의한 상태였던 것이다. 지난 2월 26일 폐업 방침 발표 후 진영 복지부장관이 정상화를 권고했던 직후였는데도 불구하고 경남도의 지난달 12일 폐업결의에 경남도민들의 흥분은 최고조에 달했다.

애당초 홍준표 경남지사의 속내는 달랐다. 진주의료원 정상화보다는 폐업쪽으로 결심을 굳힌 홍 지사에게는 장관의 권고나 도민들의 얘기가 아무런 변화를 주지 못한 것이다. 이와는 달리 국회에서는 진주의료원 폐업을 막기 위해 '진주의료원 폐업 철회 결의안'을 채택했다. 시민사회단체나 보건의료노조 역시 폐업 철회를 위한 시위를 벌이는 등 압박의 수위를 높였다.

이런 와중에도 경남도는 막무가내 환자를 강제 퇴원시키는 등 합의보다는 아집을 부렸다. 진주의료원에서 강제 퇴원 당한 환자 중에는 사망자가 9명이나 발생하는 가슴 아픈 상황까지 생겼다. 하지만 경남도는 환자 사망이 강제퇴원과는 무관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환자가 계속 입원한 상태라고 해도 숨졌을 것이라는 궤변만 늘어놨다.

사실 경제논리로만 보면 대부분의 공공병원은 폐업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모든 공공병원이 경제논리로만 따져 운영된다면 돈이 없는 우리 가족들의 치료는 엄두를 내지 말라는 얘기다. 다시 말해 돈이 없으면 병이 들어도 살고 싶은 욕심을 버리라는 얘기다.

홍준표 도지사에게는 이러한 상황들이 별 것 아닌가 보다. 2013년 새정부가 들어섰다. 새정부의 정책기조 중 어떠한 경우라도 국민복지가 우선되어야 한다는 데 토를 달지 않을 것이다. 새정부의 민생정치가 무엇인가? 또 행복사회가 무엇인가? 부자든, 가난한 사람이든 대한민국에서 사는 모든 국민들은 최소한의 행복은 함께 나눠야 하지 않겠는가. 돈이 없으면 치료도 받지 못한다는 말인가?

이제는 최고 통치권자인 대통령이 나서야 할 때다. 박근혜 대통령은 후보 시절 '지방의료원·지역거점 공공병원 활성화'를 약속했다. 꼭 공약을 지키라기보다는 힘없고 돈없는 우리의 가족들이 병원이 아닌 거리로 내팽겨지고 있음을 안타까워해야 한다. 지금이야말로 진주의료원 폐업사태에 대해 대통령의 적극적인 관여가 절실할 때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3-06-07 00:00:00
기자프로필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오늘의 주요뉴스더보기
부산은행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동양야금공업
원음방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